월요일, 4월 29, 2024
HomeToday한은 "가상자산, 법정화폐 될 가능성 적다"

한은 “가상자산, 법정화폐 될 가능성 적다”


한국은행이 가상자산에 대해 법정화폐로 쓰일 가능성이 적다고 판단했다.

대신 법정화폐와는 별개로 민간 영역 일부에서 제한적 용도로 사용되면서 투자, 투기 수단으로서 관심이 지속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한은은 8일 ‘디지털 혁신에 따른 금융 부문 패러다임 전환 가능성’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서 한은은 “비트코인 등 민간 암호자산이 향후 법정통화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을지 여부가 관심사”라며 “여러 의견이 대립하고 있지만, 블룸버그 등 주요 언론은 그 가능성이 작은 것으로 평가한다”고 설명했다.

가상자산은 증시에 상장된 자산처럼 상한가와 하한가 제한이 따로 없기 때문에 하루에도 수십배에서 수천배까지 오르내리는 등 변동성이 크다.

한은은 “암호자산 중 법정화폐와 연동돼 안정된 가치를 유지하도록 설계된 스테이블 코인의 경우 암호자산 생태계 및 가상세계, 국가 간 송금 등에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며 “투자 및 투기 수단으로서 관심은 지속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금융서비스를 뜻하는 디파이에 대해서는 “당분간 금융회사를 통한 금융중개 방식이 일반적 거래형태로 유지될 것”이라며 “디지털 경제의 확산으로 디파이의 역할은 계속 커질 수 있다”고 판단했다.

디파이는 블록체인 기반 금융서비스다. 한은에 따르면 디파이 서비스 시장 규모를 예치금 규모로 살펴보면 지난 6월 기준 480억달러 수준이다.

디파이는 2017년 메이커다오가 이더리움 기반으로 스테이블 코인 다이와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 대출 서비스를 출시하면서 본격 성장했다.

한은은 디지털 전환 신기술과 금융혁신에 따른 금융 부문 패러다임(체계) 전환이 소비자와 중앙은행, 감독기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은 “금융의 디지털 전환에 따라 긍정적인 효과뿐 아니라 관련 리스크(위험)도 커질 것”이라며 “중앙은행은 플랫폼화, 탈중앙화 등에 따른 통화신용정책의 파급 경로 변화에 대한 연구를 확대해야 하고, 금융감독당국도 감독 사각지대 발생으로 소비자 보호가 저해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 ARTICLES

Most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