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일본 자유민주당의 타이라 마사아키 중의원이 최근 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해 “일본은 암호화폐 상장 기준 완화를 넘어 더 적극적으로 규제를 풀고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최근의 조치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지금에 만족하지 말고 더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블룸버그는 “타이라 의원이 이끌고 있는 팀은 지난 3월 암호화폐에 대한 백서 초안을 작성한 바 있고 총리를 설득해 일본 행정부가 6월 발표한 연례 정책 지침에 ‘웹3 시장 성장’ 목표를 포함시킨 바 있다”면서, “타이라 의원은 ‘현재 세금 및 상장, 회계 규정 개선에 중점을 둔 세 번째 암호화폐 규제 백서 초안’을 작성하고 있으며 연말 중에 중간보고서를 발표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협회(JVCEA)는 이르면 오는 12월 암호화폐 상장 심사 기준을 완화할 예정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또한 이날 암호화폐 전문매체 포캐스트에 따르면, 인도 중앙은행의 라비 산카르 부총재가 최근 열린 퓨처 오브 파이낸스 포럼에 참석한 자리에서 “법정화폐도 제공할 수 없는 것을 디지털화폐가 제공할 수는 없으며, 그런 전례 역시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디지털 자산 가운데, 미국 달러와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은 인도와 같은 국가 입장에서 통화 정책에 대한 통제권, 주도권을 빼앗을 수 있기 때문에 경계심을 갖게 한다”며, “우리에게는 우리 나름의 통화 정책이 있고 이를 실현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를 포기할 수는 없다”고 부연했다.
이를 두고 같은 포럼에 참석한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C의 발행사 서클의 단테 디스파테 CSO는 “민간 부문이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와 법정 화폐 사이에는 경계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퍼블릭 블록체인은 폐쇄적이고 독점적이면서 근본적으로 취약한 2008년 이전의 금융 시장 인프라를 극복하기 위해 탄생한 것”이라고 반박을 가했다.
한편, 같은 날 또 다른 암호화폐 전문매체 더블록에 따르면, 러시아 중앙은행(CBR)이 금융 시스템 통합에 초점을 맞춘 암호화폐 보고서를 발표한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보고서는 주요 우려 사항과 관련해 암호화폐 발행에 대한 적절한 과세 및 규제를 언급했지만, 자금세탁 규정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아울러 CBR은 우호국에 국내 시장을 개방하는 사안에 대해 관심을 내비치며 “오는 2023년 CBDC에 대한 테스트 운영을 실시할 예정”이라며, “디지털 루블에 초점을 맞춘 별도의 보고서도 준비 중”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