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해킹과 사이버 공격을 통해 가장자산을 탈취해 대량살상무기(WMD) 개발 재원을 충당하고 있다는 국제연합(UN)의 분석이 나왔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는 20일(현지시간) 북한이 가상자산 탈취로 전체 외화 수입의 절반을 조달하고 WMD 개발의 40%가량을 충당했다는 전문가 패널 연례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2017~2023년 가상자산 관련 회사를 상대로 사이버 공격을 감행했다. 이를 통해 북한이 빼돌린 금액은 30억 달러(약 4조원)로 추산됐다. 이와 관련된 의심 사건 58건에 대해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이다.
보고서는 “북한이 지난해 외화 수익 중 절반(50%)을 이러한 ‘악의적 사이버 활동’으로 벌어들였다”면서 “이를 통한 수익은 WMD 개발로 이어졌고, 이는 관련 예산 가운데 40%를 차지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북한의 사이버 공격 행위를 저지하기 위해 정찰총국 산하 해킹그룹 5개 단체에 대한 안보리의 제재를 권고했다”면서 “해킹조직은 우리 정부가 독자제재 명단에도 올린 라자루스·김수키· 스카크러프트· 블루노로프· 안다리엘 등”이라고 짚었다.
또 “북한은 다양한 수단으로 유엔 제재를 피해 추가로 핵무기와 탄도미사일 개발 프로그램을 진전시키고 있다”면서 북한이 국제해사기구(IMO) 번호가 없는 소형 선박을 이용해 불법 환적을 시도하는 등 최근 제재 회피 수법을 소개했다.
실제로 최근 북한의 영변 핵시설 건물 주변에서 원자로 가동 조짐이 일부 관찰된 것으로도 알려졌다.
이외에도 보고서는 북한의 해외파견 노동자를 40여 개국 10만여 명으로 파악했다. 이들은 식당과 제봉, 건설, 의료, 정보기술(IT) 등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중국과 러시아, 라오스 등 5개국에서는 식당을 운영하고 있고, 이를 통해 연간 7억 달러의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됐다.
북러 밀착의 정황도 보고서에 담겼다. 지난해 9월 열린 북러 정상회담 이후 북한의 탄도미사일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동원된 정황과 러시아 국적 선박 앙가라호와 마리아호가 지난해 8~12월 사이 북한 나진항에서 컨테이너를 싣는 정황 등이 언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