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에 침략을 당한 뒤, 세계 각국으로 부터 기부받은 대체불가능토큰(NFT)을 판매해 자금을 모을 계획을 세웠다고 한다.

우크라이나 디지털전환부 알렉스 보르냐코프 차관은 기부 받은 NFT를 판매할 경매 플랫폼을 이번 주중으로 개설할 예정.
보르냐코프 차관은 기부받은 NFT 중 5∼10%가량만 가치가 있다며, 이번 판매는 우선적으로 글로벌 NFT거래소 오픈시를 통해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중 미국 대표 디지털 픽셀아트 콘텐츠인 ‘크립토펑크’ 중 하나로 기부된 한 NFT의 가치는 약 20만 달러(약 2억4250만원)로 추산되고 있다.
또한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군의 침략으로 파괴된 도시와 국민의 고통을 담은 디지털화 콘텐츠를 NFT로 발행해, 77만 달러(약 9억3천800만원)어치를 판매하기도 했다.
이 자금은 항전과 향후 재건을 위한 자금으로 사용될 예정.
이를 두고 보르냐코프 차관은 “이러한 NFT 콘텐츠들이 우크라이나에서 벌어진 일을 다른 국가에서 기억하게 만들 것”이라며, “단순한 암호화폐(가상화폐) 기부보다 더 영향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러시아군의 침공이 시작된 지난 2월 24일 이후 우크라이나로 들어온 가상화폐 기부액 규모는 6000만 달러(약 731억2200만원)를 넘어섰다.
그중 4100만 달러 어치는 군수품 및 의약품 구매에 사용됐으며, 나머지는 자국 피란민 구호에 사용될 것이라고 보르냐코프 차관은 밝혔다.
아울러 차관은 가상화폐 재단 ‘스텔라 개발 재단’의 2천만달러 어치 기부 덕분에, 자국민 6만6천명에게 각자 300달러 어치 가상화폐를 지급할 수 있게 됐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 가상화폐를 자녀가 있거나 소득이 낮은 국민들에게 우선적으로 나눠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