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지난 2년간 10억 달러(한화 1조4000억여원) 이상 암호화폐 등을 탈취해 불법 무기 개발에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18일(현지시간) 미국의소리(VOA)에 따르면 알레한드로 마요르카스 미국 국토안보부 장관은 이날 ‘싱가포르 국제 사이버주간 서밋'(SICWS) 행사 연설에서 이 같은 발언을 내놨다.
마요르카스 장관은 “북한은 지난 2년 동안에만 10억 달러가 넘는 암호화폐와 경화(hard currency)의 사이버 탈취를 통해 대량살상무기 프로그램에 자금을 지원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들은 현존하는 국가들 내의 기관들을 대상으로 이런 사이버 강탈 행위를 자행하고 있다”며 “거의 처벌을 받지 않으면서 이런 일들을 일삼는다”고 강조했다.
또 “러시아, 이란, 북한, 중국과 같은 적대 국가들과 전 세계 사이버 범죄자는 더 교묘해지고 더 부정적인 결과를 낳고 있다”면서 “이들의 사이버 작전들이 모든 이들의 경제와 국가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이런 국가 등의 사이버 위협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우리가 지금까지 처했던 것 보다 더 위험하다”면서 “이들의 방법은 다르지만 해를 입히는 목적은 같다”고 설명했다.
특히 마요르카스 장관은 ‘금전적 이익’을 위한 공격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랜섬웨어’ 공격을 거론했다.
그는 “미 연방수사국(FBI)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에만 미국에 2500건 이상의 랜섬웨어 공격이 벌어졌다”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바이든 행정부는 유럽연합(EU), 한국 등과 랜섬웨어 대응을 위한 강력한 공조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랜섬웨어 공격은 사용자의 컴퓨터를 장악하거나 데이터를 암호화한 다음 정상적인 작동을 위한 대가로 금품을 요구하는 사이버 공격을 의미한다.
마요르카스 장관은 “라자루스 등 북한 연계 해킹조직들은 랜섬웨어 공격을 통한 암호화폐 탈취에서 최근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며 “진화하는 사이버 위협에 앞서기 위해 한국, 이스라엘, 영국 등과 국제 연구와 개발 협력 관계를 심화하고 있다”고 했다.
실제로 미국의 암호화폐 분석 회사인 체이널리시스는 올해 발생한 암호화폐 탈취 사건의 60% 정도가 북한 연계 해커들의 소행인 것으로 추산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