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 거래로 의심되는 해외송금 사례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해외조직이 연계됐다는 의혹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에 금융당국의 추가 검사와 검찰 수사가 어디까지 확산할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14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난 6월 우리·신한은행의 자체 검사 결과에서 시작된 수상한 해외송금 거래 정황은 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다.
우리·신한은행에서 취급된 이상 외환 송금은 당초 보고된 규모(20억2000만달러·2조6000억원)보다 훨씬 많은 33억9000만달러(4조4200억원)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어 다른 은행에서도 이상 외환 송금이 속속 추가되고 있다. 금감원은 지난달 1일 우리·신한은행 외 다른 은행들에도 2021년 이후 유사한 거래가 있는지를 자체 점검해 보고하도록 요청한 바 있다.
그 결과, 은행들이 의심 거래로 보고한 거래 규모는 당초 금감원이 점검 대상으로 지시한 20억달러(2조6000억원)보다 훨씬 큰 31억5000만달러(4조11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이로써 현재까지 파악된 이상 해외 송금 총액만 65억4000만달러(8조5400억원)에 이른다.
규모가 예상을 훨씬 웃돌면서 금감원은 각 은행의 점검 결과를 면밀히 분석한 뒤 추가 검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검찰도 이상 외환송금 사건과 관련해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드러나고 있는 해외송금 이상 거래의 주체와 거래 목적을 두고 다양한 추측이 오가고 있다.
우선 해외송금이 국내 가상화폐 시세가 해외보다 비싸게 형성되는 이른바 ‘김치 프리미엄'(김프)을 노린 차익거래와 연관됐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온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런 자금 흐름이 단순한 김프를 노린 성격을 넘어서서 가상자산 거래소를 통한 자금세탁을 시도했거나 다른 불법 범죄자금과 연관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국가정보원도 금감원과 업무협조를 하면서 이상 해외송금 관련 자금 흐름을 살펴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권 관계자도 “비교적 단기간에 대규모의 자금 거래가 집중적으로 이뤄진 것에 비춰볼 때 개인 차원의 행위로 보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해외와 연계된 조직적인 세력이 연루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