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선진국 G7이 개발도상국들이 국제 표준을 준수하며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를 도입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을 고려하겠다고 발표했다.
G7에 포함된 나라는 미국을 비롯해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 캐나다 7개 국가다.
로이터통신이 오늘 11일(현지 시간) 전한 내용에 따르면 일본의 ‘마사토 칸다’ 국제 문제 담당 재무부 차관(재무관)은 오늘 미국 워싱턴에서 진행된 한 세미나를 통해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디지털 기술에 영향을 받은 결과 현재 글로벌 커뮤니티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해당 사안이 이번 2023년에 일본이 의장국을 담당하게 될 G7 논의의 핵심안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마사토 칸다 차관은 “적절한 투명성 및 건전한 거버넌스 등의 요소들을 보장하면서 CBDC 개발이 끼칠 위험을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이번 2023년 우선순위로 ‘G7’이 개발도상국들이 소매용 CBDC와 관련해 G7 공공 정책 원칙 등을 포함해 적절한 표준을 준수해 CBDC를 도입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을 고려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편 ‘G7’에 속하지 않은 국가로는 중국이 최근 디지털 화폐 발행을 이끌고 있는 상황이다.
G7의 중앙 은행들은 CBDC 발행과 관련 대한 공통 기준을 준비해놓은 상태로, 일부 은행들은 현재 꾸준히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칸다 차관은 디지털 기술의 빠른 혁신이 다양한 장점과 편의성을 제공하고는 있으나 사이버 보안, 오정보의 빠른 확산, 사회적/정치적 분열 현상, 금융 시장의 불안정 위험 등과 같은 새로운 도전점들을 안겨주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지난 2022년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FTX의 파산은 정책 입안자들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통일된 규제를 만들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게 하는 등,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암호화폐에 대해서는 각 국가마다 약간씩 다른 견해를 지니고 있으나, 지난해 FTX 쇼크로 더 구체적이면서 많은 규제가 필요하다는 것에는 의견이 거의 일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