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과 알트코인이 스윙 저점까지 팔리는 등 48시간 동안 이어진 조정활동에 이어 9월 22일 암호화폐 생태계가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

주식과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분명히 중국의 에버그란데(중국헝다그룹) 부동산 회사의 도산 가능성에 대해 걱정했고 많은 사람들은 채무 불이행이 금융 시장의 세계적인 하락을 촉발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같은 우려는 이 부동산회사가 채권 보유자들과 합의해 기술적으로 채무 불이행을 피할 수 있게 되자 일시적으로 잠재워졌고, 이는 비트코인(BTC)을 4만4000달러로 하루 최고치로 끌어올리며, 암호화폐 시장 전반의 회복에 불을 지폈다.
코인텔레그래프 마켓 프로 앤 트레이딩뷰의 자료에 따르면, BTC 가격은 9월 21일 저녁 시간대 최저치인 3만9,572달러를 기록한 이후, 하루 중 최고치인 4만4,021달러로 11.3% 반등했으며, 보도 당시 4만3250달러에 육박했다.
비트코인(BTC) 가격의 한낮 폭등은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 의장의 발언에 이어 나온 것으로, 연준은 당분간 현재 수준의 월간 채권 매입을 계속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파월 의장은 또 이르면 2022년 금리 인상이 올 수 있다는 신호를 보냈다.
에버그란데와 관련된 발전과는 별개로 최근 게리 겐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의 발언도, 규제당국이 SEC에 암호화폐와 성장하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단속하도록 지시하는 계획을 재차 강조했기 때문에 시장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에버그란데와 규제 우려가 시장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는 증거는 ‘크립토 공포 & 탐욕 지수’에 반영이 됐는데, 이는 8월에 극단적인 탐욕 지역에 들어간 후 전 주에 중립을 지키고 다시 한번 극도의 공포를 나타내고 있다.
9월 22일 시장의 반전은 트레이더들이 방관자적 입장에서 벗어나 새로운 자리를 열려고 할 때 적자였던 스테이블코인을 제외하고, 상위 200개 대부분의 암호화폐의 가격을 끌어올리는 데 도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