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외신 보도에 따르면, 비트와이즈가 24일(현지시간) 비트코인 현물 ETF의 보유 주소를 발표한 후 해당 주소로 상당한 기부금이 전송된 것으로 드러났다.
![](https://coinpannews.com/wp-content/uploads/2024/01/3-13-1024x576.jpg)
가장 많이 기부된 자산은 비트코인 인스크립션으로, 현재 해당 주소는 6,083달러 상당의 인스크립션 1만6,000개를 보유 중이다.
앞서 리버의 알렉산더 라이시먼 CEO는 자신의 X를 통해 “누군가 비트와이즈 현물 ETF 주소에 6969사토시를 보냈다”고 전한 바 있다.
이를 두고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에릭 발추나스는 “누군가 펀드에 기초자산을 기부하는 건 ETF 사상 처음 있는 일”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이날 인도의 시장조사기관 스페리컬 인사이트가 발표한 보고서에서 “비트코인 결제 시장은 2032년까지 4조 8,200억 달러(=6,436조 1,46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비트코인 결제 시장 규모는 2022년 기준 1조 7,600억 달러로, 2032년 전망치까지 성장한다면 연평균 성장률은 16.19%로 추산된다”며, “비트코인 결제 생태계 성장에는 거래소 시장 성장, 규제 관할권 밖 전자상거래 산업 내 BTC 결제 증가 등이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다만, 주요 은행 등 금융기관들이 BTC를 결제 수단으로 활용하려면, KYC(신원 인증), 컴플라이언스(규제 준수) 등 새로운 기술이 바탕이 돼야 한다”면서, “또 급격한 가격 변동성은 글로벌 비트코인 결제 활성화를 저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같은 날 주기영 크립토퀀트 대표가 X를 통해 “그레이스케일 비트코인 현물 ETF GBTC의 BTC 보유량이 일주일 사이 15% 감소했다”며, “이 속도대로라면 3월 중순에는 보유량이 제로가 된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