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국제결제은행(BIS)이 발표한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가 저개발국에서 금융 위험을 줄이는 데 실패했뿐만 아니라 오히려 “재정 위험을 증폭”시켰다.
22일(현지시간) 금융안정이사협의회(CGDFS)는 “암호화폐 자산으로 인한 신흥시장 경제의 금융 안정성 위험”이라는 제목의 암호화폐 관련 신규 보고서를 발표했다.
해당 연구는 아르헨티나, 브라질, 캐나다, 칠레, 콜롬비아, 멕시코, 페루 및 미국을 포함한 CGDFS 내의 BIS 회원 중앙은행에 의해 수행됐으며, 보고서는 여기에 나타난 견해가 작성자의 견해에 해당하며 “반드시 BIS의 견해를 대변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강조를 빼놓지 않았다.
연구를 수행한 보고서 작성자에 따르면, 그동안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는 신흥 시장의 재정적 문제에 대한 ‘신속한 해결책’이라는 “환상적인 매력”을 어필해 왔다.
보고서는 “암호화폐는 저비용 결제 솔루션, 금융 시스템 접근을 위한 대안, 인플레이션이 높거나 환율 변동성이 높은 국가에서 국가 통화를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홍보되어왔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이 같은 홍보와는 달리 암호화폐가 신흥 시장의 금융 안정성 위험을 오히려 확대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각 국의 당국은 전면적인 암호화폐 금지부터 봉쇄, 규제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위험의 해결을 위한 다양한 정책 옵션을 갖게 됐다고 보고서는 언급한다.
다만 이와 동시에 중앙은행 혹은 규제 당국이 암호화폐에 대해 “지나치게 금지적인 방식”으로 반응할 경우에는 그에 따른 위험도 존재하며, 그러한 억압적 정책이 암호화폐 활동을 더욱 불법적으로 몰고 갈 수 있다고 경고한다.
저자는 “암호화폐가 금융 해결책적인 목표를 아직까지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해당 기술은 여전히 다양한 건설적인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면서, “관련 혁신을 사회적으로 유용한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확립하는 것은 앞으로도 중요한 과제로 남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보고서에서 중앙은행은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를 신흥 시장의 주요 잠재적 시장 위험 중 하나로 꼽았는데, 이러한 상품은 (투자 전략이) 정교하지 못한 “개인 투자자”의 진입 장벽을 낮추면서 노출을 늘리게 되기 때문이라는 이유에서다.
또 다른 위험 요소로는 비트코인 ETF 투자자가 “암호화폐 자산을 소유하지 않았음에도 비트코인 가격이 떨어지면 큰 손실을 입을 수 있게되는” 상황이 언급됐으며, 이밖에도 암호화폐 선물 기반 ETF가 “크립토 선물 시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경우, 가격 변동성을 높이고 위험을 증폭시킬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도 지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