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단기 투자자의 ‘항복(capitulation)’이 가까워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0일 유명 온체인 분석가 콜 가너는 자신의 X를 통해 “비트코인에 대한 항복이 다가오고 있다”며, “온체인 유동성이 (단기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항복이란 투매하고 주식을 포기하는 행위를 말하는데, 주가가 바닥을 찍었다는 (매수)신호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는 “유동성은 각국 중앙은행으로부터 (공급이) 시작된다”면서, “중국이 이를 시작하지 않는다면 미국 중앙은행(Fed)이나 일본은행(BoJ)가 해야 한다. 하지만 그전에 시장에 더 큰 하락이 먼저 올 수 있다”고 예측했다.
앞서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 추진 속도에 대한 실망감이 확산하면서 증시는 하락세를 보였다.
이어 “비트코인은 공포감에도 여전히 강세 구조를 지니고 있다”면서, “우리는 매수 신호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비트코인은 글로벌 유동성이 증가하는 추세에서 수혜를 볼 가능성이 크지만 유동성 조건이 변화하면서 불안정성에 직면해 있는데, 비트코인이 5만달러 미만으로 하락할 가능성도 있다는 게 외신의 설명이다.
또 이날 전통 헤지펀드 두 곳 중 한 곳은 가상자산(암호화폐)에 투자하고 있고 일부는 연말까지 투자를 늘릴 것으로 예상된다는 보도가 전해졌다.
10일 블룸버그는 “가상자산 관련 규제의 명확성이 높아지고 미국과 (홍콩 등) 아시아에서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가 출시되면서 더 많은 투자자가 가상자산에 관심을 갖게 됐다”며, “이제 전통 헤지펀드들 절반 이상은 가상자산에 투자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날 글로벌 컨설팅기업 PwC는 알터네이티브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 어소시에이션과 공동 작성한 보고서를 통해 “기존 시장에서 거래하는 헤지펀드 중 47%는 디지털 자산에 노출돼 있다”면서, “가상자산에 투자하고 있는 펀드 67%는 동일한 수준의 자본을 유지할 계획이며, 나머지는 연말까지 더 많이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글로벌 헤지펀드 100곳을 대상으로 지난 2분기에 실시됐다.
매체는 “헤지펀드는 현물 시장에 뛰어들었지만 지금은 더욱 정교한 (투자)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면서 “가상자산과 관련된 펀드 58%는 파생상품을 거래하고 있다. 현물 거래 비율은 지난해 69%로 정점을 찍은 이후 올해 25%까지 감소했다”라고 부연했다. 일부 헤지펀드는 가상자산 차익거래 전략 등으로 높은 단일 수익을 내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어 “일부 헤지펀드 매니저들은 여전히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다”면서, “현재 가상자산에 투자하고 있지 않은 매니저들 76%는 향후 3년 동안 마음을 바꿀 가능성이 낮다고 응답했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