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 평가사 무디스가 토큰화 기반 펀드의 성장으로 자산 투자 효율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평가를 내놨다.
무디스는 15일(현지시각) 보고서를 통해 “토큰화 펀드 시장의 성장으로 자산 투자의 효율성이 개선되고 있다”면서 “기관들의 채택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토큰화 펀드 시장은 개발되지 않은 잠재력 있는 시장”이라고 진단했다.
토큰화란 블록체인상에서 자산(실물 또는 디지털)을 토큰 형태로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디스는 “토큰화 펀드의 잠재적 적용 범위는 단순한 자산 유동성 강화를 넘어선다”면서 “토큰화 펀드는 담보 등 다양한 기능의 역할로 확장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 “채권형 토큰화 펀드는 주로 국채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연이은 금리 인상으로 수익률이 더욱 매력적으로 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통 금융기관 및 암호화폐 기업이 채권을 담보해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발행한 토큰화 펀드의 규모는 2023년 1억달러에서 시작해 8억달러 이상의 규모까지 성장했다.
토큰화 펀드 사례도 소개됐다. 현재 가장 큰 규모의 토큰화 펀드를 발행하고 있는 프랭클린 템플턴이다.
프랭클린 템플턴은 지난 2021년 스텔라(XLM) 블록체인을 활용해 토큰화된 머니 마켓 펀드를 운영하며 미국 정부 자금 펀드 지분을 스텔라에 등록하고, 이를 통해 펀드 거래 및 기록 관리를 디지털화했다. 지난해에는 이 서비스를 폴리곤(MATIC)으로 확장했다.
다만 무디스는 “토큰화 펀드는 기초자산, 펀드 운용과 관련된 일반적인 위험 요인뿐 아니라 기술과 관련된 추가적인 위험 요인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토큰화 투자 펀드의 채택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를 지원하는 기술 기업의 실적은 제한적인 경우가 많다”면서 “이 때문에 파산이라 기술적 실패에 따른 지급 차질 등 위험이 있을 수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토큰화와 관련해 추가적인 기술 전문성이 필요하다”면서 “펀드 매니저들에게도 더 다양한 기술 전문성이 요구될 수 있다”고 짚었다.
끝으로 무디스는 “자산 토큰화는 시장의 유동성과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해 기존 투자자에게는 또 다른 기회를 제공한다”며 “높은 수익률을 제공한다면 전통 자산은 디파이의 변동성 높은 수익률에 비해 더 매력적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