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가 개발도상국에서는 오히려 금융 위험도를 증폭시킬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3일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금융기구 국제결제은행(BIS)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의견을 냈다. 이 보고서는 해당 연구에는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캐나다, 칠레, 콜롬비아, 멕시코, 페루, 미국 등의 중앙은행이 참여했다.
국제결제은행은 “‘금융의 미래’로 주목받던 암호화폐가 약속을 지키지 못하는 상황에 닥쳤다”며 “암호화폐는 금융 관련 여러 문제를 간단하고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수단으로 여겨졌으나 오히려 개발도상국을 위험에 빠트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암호화폐는 저비용 결제 솔루션, 금융 시스템 접근을 위한 대안, 인플레이션이 높거나 환율 변동성이 큰 국가에서 자국 통화를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홍보됐다”며 “암호화폐가 신흥 시장의 금융 문제에 대한 빠른 해결책이라는 환상의 매력을 지녔다는 것은 사실”이라고 짚었다.
다만 “개도국에서는 시장의 성격, 구조, 구성, 작용 등에서 비롯되는 암호자산의 취약성과 위험도는 다중적”이라며 “개도국 국가 당국들은 시장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정의하기 위해 협력할 수 있고, 이는 금융 기관과 핵심 시장 인프라 간의 중요한 연결 지점에 대한 확인을 통해 이뤄진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중요 요소들이 공개되고 결국 암호자산이 애초에 내세웠던 익명성에는 반하게 된다”며 “역외에서 익명으로 작동하는 암호자산 시장의 성격을 고려할 때 완전한 금지는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반대로 호화폐 자산을 완전 금지할 시 개도국의 정책입안자들은 장에 대한 모든 시야를 잃게 된다”며 “시장의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은 더 낮아지게 되고, 암호자산 시장에서 얻을 수 있는 온갖 혁신도 잃어버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암호화폐가 신흥 시장의 금융 안정성 위험을 확대한다는 점에서 각국의 금융 당국이 전면적인 금지부터 억제, 규제까지 다양한 문제를 다룰 정책 옵션을 갖뤘다”며 “동시에 각국의 중앙은행과 금융 당국이 과도한 암호화폐 금지 정책을 택하면, 암호화폐를 불법 암거래 시장으로 몰아넣는 등의 위험성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