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 일본 정부가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북한의 불법 가상자산 탈취 문제에 대한 대응을 논의했다.
대통령실은 4일 오전 한미일 3국이 사이버 안보 회의를 열고 북한이 불법 탈취한 가상자산을 대량 살상무기 개발자금으로 사용하는 악순환을 끊기 위한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한국의 임종득 국가안보실 2차장, 미국의 앤 뉴버거 국가안전보장회의 사이버·신기술담당 국가안보 부(副)보좌관, 일본의 마사타카 오카노 국가안전보장국 차장이 각각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이들은 ▲한미일 고위 협의체 신설을 통한 3국 간 긴밀한 정보 공유 ▲합동 보안 권고문 발표와 북한의 악성 사이버 활동에 대해 적극적으로 공조하는 방안 등을 논의했다.
또 ▲이번 3자 회의체를 사이버안보 대화채널로 정례화하는 방안 ▲ 북한 IT 외화벌이 인력 공동대응 ▲가상자산 전문업체와의 협업 등 주요 협력 현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한국과 미국, 일본 정부는 오는 9월 초 후속회의를 통해서 협의내용을 구체화하는데 합의했다.
대통령실은 “이번 회의에서 논의된 사항은 오늘 18일 예정된 한미일 정상회의의 사이버안보 분야 의제와 연계돼 향후 한미일이 정보동맹 수준의 협력을 본격화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북한은 해커조직을 움직여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을 공격하고 있다. 북한은 지난해에만 17억달러(약 2조원)의 가상자산을 탈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북한이 가상자산을 해킹해 확보한 자금으로 핵 미사일 프로그램 고도화에 나서고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미 연방수사국(FBI)는 “북한이 해킹으로 얻은 이득이 대규모 살상무기 개발에 투입될 것”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북한 해킹 조직이 국내 기관 등을 상대로 한 공격은 올 상반기 기준 하루 평균 96만여 건이었다. 전체 국제 해킹조직의 국내 기관에 대한 공격은 하루 평균 137만여 건으로 지난해 대비 15% 증가했다.
국정원은 북한의 대남 사이버 공격이 앞으로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정보당국은 북한의 해킹 움직임을 더욱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