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무부가 세계 4위 규모의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Kraken)을 이란 경제제재 위반 혐의로 조사 중이다.
미국 뉴욕타임스 등 외신들은 26일(현지시간) 재무부 해외자산관리국은 이란 내 이용자들에게 거래소 서비스를 제공한 혐의로 크라켄을 조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크라켄 거래소는 재무부 산하 해외자산통제국(OFAC)로부터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해외자산통제국은 지난 4월 북한의 대표 사이버범죄 집단인 ‘라자루스 그룹’의 가상화폐 계좌 주소를 밝히는 방식으로 ‘특별지정제재대상’ 목록을 공개하기도 했다.
해외자산통제국은 지난 3월 기관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발효한 ‘러시아 대외활동 유해 금지 규정들’에 제재 목록 중 하나로 가상화폐 등 디지털 화폐들을 포함했다.
러시아 정부에 이익을 주기 위한 디지털 화폐 사용을 금지하고, 위반할 시 처벌하겠다는 의미다.
한 외신은 “크라켄이 이란을 비롯해 시리아와 쿠바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계정 운영을 허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란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들은 1500명 이상”이라고 전했다.
크라켄 거래소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지난 1979년 이후로 시행 중인 현지 정부의 이란 경제 제재 정책의 책임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크라켄 측은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이와 관련해 즉답을 피하며 “미국의 경제제재 관련 규정을 철저하게 모니터링 하고 규제당국에 잠재적인 문제까지 보고한다”고 해명했다.
이어 “거래소가 이용자를 대상으로 강력한 규정 준수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대응 팀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재무부 산하의 해외자산통제국은 가상화폐 시장 내 발생하는 국제적 범죄와 관련해 가장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는 규제 기관 중 한 곳이다.
재무부 대변인도 관련된 답을 피하면서 “진행 중인 조사 건에 대해서는 따로 논평하지 않는다”며 “우리는 국가의 안보를 보호하기 위해 우리의 모든 권한을 사용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만 말했다.
다만 재무부는 크라켄에 과징금을 부과할 수도 있다고만 언급하면서,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