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중앙화 금융(디파이) 서비스 솔렌드(Solend)가 부실 발생을 우려해 거액 대출 계좌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하려 하던 계획을 철회했다.
개발사가 사용자 지갑에 접근할 경우, 디파이의 기본 원칙인 탈중앙화가 깨진다는 회원들의 반발이 빗발친 탓이다.
경제 매체 CNBC 방송은 20일(현지시간) 디파이 업체 솔렌드가 악성 채무 발생을 피하려고 한 ‘고래'(가상화폐 거액 투자자)의 코인 지갑에 접근하려 했지만 무산됐다고 보도했다.
솔렌드는 지난 19일 개발사가 사용자의 지갑에 개입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긴 제안을 투표에 부쳤다.
이번 제안은 솔렌드 개발사인 솔렌드랩스가 대규모의 암호화폐 솔라나(SOL)를 담보물로 맡긴 일명 ‘고래’ 지갑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이를 통해 솔렌드는 대규모의 강제청산이 발생해 솔라나 블록체인 생태계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겠다는 의도다.
당초 솔라나는 가격이 22.3달러까지 떨어지게되면, 고래 대출금의 20%에 해당하는 2100만달러(약 270억원) 치 암호화폐가 강제청산 당하는 구조다.
그런데 이 같은 대규모 청산이 발생하면 해당 물량을 받아줄 수 있는 탈중앙화거래소(DEX)가 없고, 청산으로 인해 솔라나 블록체인 상 거래량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 전체가 흔들릴 수 있다.
이에 솔렌드는 고래 계정에 임시로 접근해 청산이 장외거래(OTC) 시장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하자는 제안을 투표에 부친 것.
해당 제안은 97%의 찬성 표를 받아 통과됐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해당 제안이 탈중앙화 원칙을 무너뜨렸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디파이는 은행과 같은 중앙집중식 금융 기관의 개입 없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금융 거래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솔렌드 회원들은 문제의 ‘고래 지갑 통제권’을 뒤집는 안건을 투표에 부쳤고 99.8%가 찬성했다.
이에 솔렌드는 고래 지갑에 접근하는 것 대신 다른 해결책을 찾겠다고 계획을 바꿨다.
CNBC 방송은 “이번 사건은 최근 가상화폐 붕괴에 휘말린 디파이 업계의 어려운 현실을 보여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