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거대 기술기업들이 대체불가토큰(NFT·Non Fungible Token) 상품 판매에 대한 자율 규제에 나섰다.
23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 그룹의 핀테크 계열사 앤트그룹은 자사의 ‘디지털 수집물(digital collectibles)’에 대한 규칙을 엄격하게 적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앤트그룹의 NFT 서비스 플랫폼인 징탄(Jingtan)은 발표문에서 “사용자가 플랫폼 밖에서 범죄 활동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수집물을 거래하면 경찰에 사실을 알리고, 사법 당국에 자료를 넘길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자사의 디지털 수집물을 확보하기 위해 전문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거나 돈세탁이나 사기 행위에 가담한 사람들도 당국에 신고하겠다”고 예고했다.
중국 최대 기술기업인 텐센트(騰迅·텅쉰)도 자체적인 플랫폼 규제에 나섰다.
이와 관련 텐센트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인 위챗(微信)은 ‘서호 넘버원(West Lake No 1)’을 비롯한 디지털 수집물에 대한 서비스를 일시 중지했다.
업계에서는 이들의 이러한 움직임이 중국 정부의 단속을 피하기 위한 사전조치로 파악된다고 보고 있다.
중국 당국은 암호화폐에 대해서는 전면 규제에 나서는 등 엄격한 입장을 보이고 있으나 NFT는 아직 ‘회색지대’로 남겨둔 상황이다.
중국 정부는 자국에는 ‘디지털 수집물’로 불리는, NFT 상품을 구매할 수는 있지만 되팔아 차익 실현을 할 수 없도록 규제하고는 있으나, 가상화폐처럼 NFT에 대해선 아직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는 것.
중국 당국은 지난해 10월 말 알리바바, 텐센트, 징둥, 바이두 등 거대 기술기업 관계자들을 불러 디지털 수집물 문제에 대해 논의했으나 아직 디지털 수집물을 불법으로 규정하지 않고 있다.
이에 알리바바, 텐센트, 비리비리, 징둥닷컴, 바이두, 샤오미 등 기술기업들은 NFT를 디지털 수집물로 지칭해 우회적으로 거래하고 있다.
대신 중국 당국은 디지털 수집물, 즉 NFT를 불법으로 규정하는 대신 국가 주도의 블록체인 사회기반시설에 바탕을 둔 독자적인 NFT 산업을 구축하려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한 매체는 “중국 정부가 ‘디지털 수집물’이 중국에서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는 상황에 대해 경계하고 있지만, 가상화폐처럼 NFT에 대한 전면적인 금지 조처를 하지는 않을 것 같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