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이 주문 체결 시 불리한 가격에서 거래가 이뤄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도입했다.
코빗은 이용자 보호와 시장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가격 보호(Price Protection)’ 기능을 개발해 도입했다고 30일 밝혔다.
가격 보호 기능은 시세 급변이나 호가 간격이 크게 벌어진 상황, 유동성이 부족한 상황에서 이용자의 주문이 불리한 가격으로 체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는 글로벌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이미 채택하고 있는 대표적인 이용자 보호 장치 중 하나이다.
가격 보호 기능은 사용자가 설정한 범위 내에서만 주문이 체결되도록 설계됐다. 오픈 API(Open API)를 통해 주문을 할 때 이용자가 선택적으로 가격 보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
예를 들어 가격 보호 범위를 ±2%로 설정하면 주문은 현재 시장의 중간가(매수호가와 매도호가의 평균값)를 기준으로 ±2% 범위 안에서만 체결된다. 해당 범위 내에서 체결 가능한 물량을 모두 소진하게 되면 나머지 주문 잔량은 자동으로 취소된다.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면 대규모 주문이나 호가 유동성이 부족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격 급변동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기능 도입으로 이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가격 체결을 예방하고 과도한 가격 괴리가 발생하는 체결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거래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코빗은 오픈 API 주문뿐 아니라 전체 이용자를 대상으로 기능 제공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정우 코빗 최고기술책임자(CTO)는 “가격 보호 기능은 단순한 편의 기능을 넘어, 이용자 보호와 시장 안정성을 동시에 강화하는 장치”라며 “이용자 보호와 건전한 거래 환경 조성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코빗은 이용자 보호를 위한 조치들을 강화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최근 코빗은 고객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내부통제를 고도화했다.
코빗은 이용자보호법에 따라 이용자 원화 예치금의 100% 이상을 은행에 예치하고 있으며, 매월 말 은행의 현장 실사와 분기 말에는 회계법인의 외부 실사를 통해 분리 보관 및 예치 의무 이행 여부를 정기적으로 점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