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가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발행 필요성과 사업 의지를 드러냈다.
윤 이사는 29일 서울 핀테크 위크 2025 기조연설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 등 디지털 화폐 주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가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스테이블코인은 그 자체만으로 가치가 있고 국내 시장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사용처가 해외 송금 또는 해외 페이먼트의 도구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한국이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잠재성을 포기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은 디지털라이제이션(Digitalization·디지털 전환)에 대한 수용도가 매우 높아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그 자체만으로 가치가 있다”면서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국내 시장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해외 송금, 해외 페이먼트 도구로 사용할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고 전했다.
또 “현재 글로벌 결제시장은 비자(VISA)와 마스터(Mastercard) 카드가 독점한 상태”라면서 “국내도 전업 카드사들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신용카드 시장 자체가 형성되지 못했을 것이다. 과거 우리나라에 카드사가 없었다면 국내 결제 시장은 비자와 마스터가 고스란히 가져갔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윤 이사는 “현재도 해외 스테이블코인 확산에 편승한다면 똑같은 상황이 반복될 수 있다”면서 “스테이블코인과 관련한 네트워크를 넓히면 과거 우리가 IT 산업을 지켜낸 것처럼 금융에서도 새로운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암호화폐 유통 규모에서 세계 2위 수준이며, 디지털 강국으로서 기술력도 충분하다”며 “수조 원 규모의 시장에서 이미 활용된 기술을 바탕으로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도입한다면 금융 강국으로 가는 중요한 어젠다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인공지능(AI) 지향적 데이터 활용을 위해서는 사회적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면서 “데이터 주권 확보와 AI 적극 도입을 통해 우리 기술을 전 세계로 확장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끝으로 “우리나라는 인프라도 갖춰져 있고 엔지니어 역량도 충분하다”며 “AI를 산업 전반에 확산시키려면 부작용이 있더라도 규제를 완화하고 테스트베드를 과감하게 운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