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요일, 8월 5, 2025
HomeToday또 '중국 암호화폐 금지설' 확산…공식 근거는 無

또 ‘중국 암호화폐 금지설’ 확산…공식 근거는 無


중국의 ‘암호화폐 전면 금지설’ 루머가 또다시 확산되면서 시장을 흔들었다. 이번에도 공식 근거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4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AMB크립토 등에 따르면 최근 중국이 새로운 암호화폐 전면 금지를 추진한다는 확인되지 않은 소문이 확산됐다.

전날 SNS 상에서는 중국이 다시 암호화폐 거래와 채굴을 금지했다는 주장이 빠르게 퍼졌다. 특히 베팅 플랫폼 칼시(Kalshi)의 공식 계정과 파이낸셜 뉴스 채널 퍼스트스콰크(First Squawk)가 중국이 자본 유출과 환경 문제를 이유로 암호화폐 채굴을 전면 금지했다고 주장하며 루머가 급속도로 확산됐다.

일부 매체 보도에서는 중국이 비트코인 보유에 대한 규제 가능성을 재검토하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는 거래와 채굴뿐 아니라 개인 보유까지 제한하는 방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불안감을 키웠다.

이번 루머는 중국의 디지털 위안화 보급 확대와 맞물려 시장의 불안감을 자극했다. 이에 비트코인 가격은 지난 2일 11만2360달러까지 하락했다.

하지만 수 주 스리 쓰리애로우 캐피털의 공동창립자는 “중국 내 소식통을 통해 확인한 결과, 정부 차원의 새로운 금지 조치는 없다”며 “이번 소문은 증거가 전혀 없는 것”이라고 루머를 부정했다.

중국 암호화폐 블로거 우 콜린 역시 ‘어떤 공식 발표나 규제 강화 조치도 없었다”면서 “중국은 개인 간 암호화폐 거래를 한 번도 금지한 적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2021년의 채굴 금지 조치 이후에도 중국이 전 세계 해시레이트의 21%를 여전히 차지하고 있다”고 짚었다. 실제로 많은 채굴 시설이 여전히 중국에 남아 활동 중인 상황이다.

중국의 암호화폐 규제 소문은 반복적으로 이어져왔다. ‘China bans crypto’라는 표현은 이미 업계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밈(Meme)으로 통한다.

한편, 중국에서는 인민은행이 2013년 은행들의 비트코인 결제를 금지했고, 2017년에는 ICO(암호화폐 공개)와 현지 거래소 운영에 대한 전면 금지가 단행됐다. 2021년에는 대대적인 채굴 단속이 이뤄지기도 했다.

RELATED ARTICLES

Most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