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컴퓨터가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의 보안을 깨기 전에 보안 체계가 발명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양자컴퓨터 기업 아이온큐의 공동창업자인 김정상 듀크대 교수는 17일 대한상공회의소 하계포럼 세션 강연에서 “양자컴퓨터가 금융시스템 암호를 깨면 비트코인도 깨지는 거 아니냐는 질문을 많이 하시는데, 맞다”고 짚었다.
이어 “양자컴퓨터 알고리즘의 경제적인 의미는 우리가 가진 모든 금융시스템이 하루아침에 무너질 수 있는 파멸적인 시나리오를 생각할 수 있다”면서 “양자컴퓨터로 암호체계가 깨지면 우리의 금융 시스템이 무너질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다행인 것은 양자컴퓨터라는 창의 발전 속도가 느려서 방패(보안 시스템)를 만들 수 있는 기간이 있다”면서 “창이 완성되기 전에 방패(보안 체계)를 만들 가능성이 훨씬 크다”고 전했다.
그는 “7~8년 전부터 미국 정부를 중심으로 양자 내성 암호라고 해서 양자 컴퓨터를 만들어도 깨지지 않는 암호 체계를 개발하고 있다”면서 “이것이 개발돼서 암호체계를 어느 정도 대체하는 데 15년에서 20년의 시간이 걸린다고 예측을 한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기존 컴퓨터와 양자컴퓨터가 대체 관계라기보다는 보완 관계라는 설명도 내놨다.
그는 “양자의 초능력을 활용하면 기존의 컴퓨터랑은 굉장히 다른 정보 처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 수 있게 된다”면서 “양자역학은 근본적으로 다른 정보 처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정보 처리를 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기존의 컴퓨터로 할 수 있는 일들이 아주 많고 효율적인 툴들은 없어지지 않을 것”이라며 “지금은 오히려 기존 컴퓨터가 90%를 하고, 하지 못하는 10%를 양자컴퓨터가 보완해주는 방식으로 갈 수 있는 게 많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김 교수는 “AI나 양자 같은 새로운 기술들이 판도를 많이 바꿀 기회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AI는 하이프(hype) 커브의 성장곡선을 많이 탄 것 같고, 양자는 아직 초기 단계가 아닐까 생각한다”고 했다.
한편, 김 교수는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양자 과학 전문가로, 양자컴퓨팅 기업 아이온큐의 공동 창업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