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유럽연합(EU)이 북한의 가상화폐 탈취 등의 위협에 대응할 방안을 논의했다.
외교부는 20일 한국과 EU가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제 7차 한-EU 사이버정책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윤종권 외교부 국제안보과장과 마치에이 스타데예크 EU 대외관계청 안보방위정책국장이 양측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협의회에는 외교부와 국정원 국가사이버안보센터(NCSC), 대검찰청, 경찰청,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 다수의 관계기관이 참여했다. EU에서도 대외관계청과 집행위원회(EC) 등 사이버안보 담당 기관 담당자들이 참석했다.
양측의 협의회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이었던 2020년 화상으로 개최(제6차 한-EU 사이버 정책협의회)된 후 5년 만에 열리는 것이다.
협의회에서 한국과 EU는 빠르게 변화하는국제 사이버안보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사이버안보 정책 동향 및 대응 체계를 공유하고, 한-EU 안보·방위파트너십에 입각한 사이버 분야에서의 지속적인 협력증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양측은 북한의 가상화폐 탈취 등 점증하는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북한의 가상화폐 탈취 등 주요 행위자별 위협 유형을 식별하고 함께 위협에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와 함께 양측은 국경을 초월한 사이버 범죄의 특성상 신속한 정보 공유 등 국제 수사 공조와 역내 국가의 사이버 역량 강화 지원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따라서 부다페스트 협약 및 유엔 사이버범죄 협약 등을 활용한 ‘평화롭고 안전하고 개방된 사이버공간 질서’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이와 함께 양측은 사이버정책협의회를 사이버안보 분야를 포괄적으로 논의하는 협의의 장으로 발전시키기로 했다.
이와 관련해 유엔 등 다자무대에서의 상호 협력 강화 방안과 오는 7월 열리는 정보안보 OEWG 제11차 실질회의에서 최종 합의를 도출하는 데 대해서도 협의하기로 했다.
외교부는 “양측은 평화롭고 안전하고 개방된 사이버공간 질서를 구축하기위해 역내 국가들의 사이버 역량 강화 노력을 지원할 필요성에 대해 공감했고, 양측이 시행 중인 사이버 역량 강화 사업 현황을 공유하며 협력 방향을 모색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