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비트코인 투자를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블록체인 매체 코인포스트 등에 따르면 미국 피델리티 디지털 에셋의 리서치 책임자 크리스 카이퍼는 스트래티지 월드 2025에서 기업의 비트코인 투자 필요성을 언급했다.
카이퍼 책임자는 “기업은 보통 여유 자금을 단기 국채나 투자 적격 채권 같은 안전자산에 투자한다”면서 “하지만 지난 10년간 이 자산의 명목 수익률은 1.3%에 불과했고, 인플레이션 조정 시에는 마이너스가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반면 비트코인은 연평균 79%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인플레이션 헤지로 효과적이라는 분석”이라며 “비트코인은 지난 5년간 65%의 복리성장률을 기록해 인플레이션과 통화가치 저하에 대한 강력한 헤지로 작용했다”고 짚었다.
그는 “비트코인이 주식이나 채권과의 상관관계가 낮아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유리하다”면서 “비트코인은 포트폴리오 분산 효과를 제공하며 리스크 대비 수익률을 개선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또 “기업들은 비트코인의 변동성을 우려하지만, 변동성 자체보다 구매력 상실이 더 큰 리스크”이라며 “비트코인은 다른 자산과 달리 상승 변동성이 하락보다 강하며, 정기적인 리밸런싱을 통해 이를 활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카이퍼 책임자는 “비트코인의 상승 변동성이 하락보다 강하다는 점을 활용해 정기적인 리밸런싱으로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며 “포트폴리오의 1~5%를 비트코인에 할당하면 국채와 조합해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다”고 전략을 제시했다.
한편, 앞서 미국 실리콘밸리의 전설적인 벤처 투자자로 불리는 팀 드레이퍼도 기업들이 비트코인 투자를 촉구한 바 있다.
드레이퍼는 최근 파이낸셜타임스 디지털자산 서밋에 참석해 “기업이 비트코인을 재무에 포함하지 않는 것은 무책임한 행동”이라며 “모두가 비트코인을 약간씩이라도 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향후 5년 이내에 비트코인으로 운영되는 투자 펀드를 설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비트코인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직원 급여도 비트코인으로 지급하고 싶다”고 전했다.
그는 “모두가 비트코인을 보유해야 한다”며 “정부도 비트코인을 재무부에 포함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