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다음 암호화폐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승인을 받을 수 있는 가장 유력한 후보로 XRP가 부상했다.
15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데스크 등은 카이코(Kaiko)의 보고서를 인용해 “XRP와 솔라나가 높은 유동성으로 인해 현물 ETF 승인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XRP의 풍부한 시장 유동성이 잠재적인 규제 변화를 이끌어낼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며 ” XRP는 주요 중앙화 거래소에서 알트코인 중 가장 높은 수준인 1%의 시장 심도를 기록하고 있다”고 짚었다.
시장 심도는 특정 가격 수준에서 매수하려는 주문(매수벽)과 매도하려는 주문(매도벽)의 양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를 의미한다.
또 “XRP는 2024년 말부터 솔라나를 앞지르고 카르다노(ADA)의 유동성을 2배 이상 뛰어넘었다”면서 “비트코인이 그레이스케일의 소송 승리를 계기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현물 ETF 승인을 얻어냈던 것과 달리, XRP는 강력한 선물 시장 없이도 스팟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왔다”고 전했다.
이어 “2021년 SEC의 소송 이후 XRP의 미국 현물 시장 점유율은 최고치로 상승한 반면, 솔라나의 미국 내 점유율이 2022년 최고치인 25~30%에서 16%로 하락했다”면서 “XRP의 모멘텀은 최근 테우크리움(Teucrium)이 출시한 2배 레버리지 XRP ETF로 더욱 강화됐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XRP는 현물 ETF 신청 건수에서도 선두를 달리고 있다”면서 “현재까지 XRP 현물 ETF 신청 건수는 총 10건에 달한다. 이는 다른 알트코인과 비교했을 때 월등히 많은 수치”라고 말했다.
XRP 뒤로는 솔라나가 5건으로 뒤를 잇고 있으며, 라이트코인(LTC)과 도지코인(DOGE)이 각각 3건의 신청 건수를 기록하고 있다.
보고서는 “XRP 현물 ETF 신청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은 SEC의 리더십 변화에 대한 기대감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면서 “업계 친화적인 성향으로 알려진 폴 앳킨스가 SEC 위원장으로 임명 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XRP는 풍부한 시장 유동성과 경쟁 알트코인 대비 압도적인 현물 ETF 신청 건수를 바탕으로 미국 시장에서 현물 ETF 승인을 받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끝으로 카이코는 “SEC의 수장 교체와 레버리지 ETF 출시라는 긍정적인 요인들이 맞물리면서, XRP가 조만간 제도권 금융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