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증권선물위원회(SFC)가 암호화폐 규제를 강화하기 위해 인력을 충원한다.
4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SFC는 입법회 회의에서 신규 직원 15명 중 8명을 가상자산 규제, 시장 감시, 단속 조사 인력으로 배치하는 예산안을 발표했다.
당초 SFC는 지난 2020년 이후 5개 회계연도 중 3개 연도에 걸쳐 직원 수를 동결해왔다. 하지만 규제 당국이 업계 규제에 대한 의지를 확대함에 따라 15명의 신규 인력을 추가할 계획을 발표했다.
SFC는 “제안된 신규 인력 중 8명은 가상 자산 규제 제도, 시장 감시 및 집행 조사를 위한 인력 지원을 강화하는 데 투입된다”며 “암호화폐 규제 업무를 위해 인허가와 감독 경험이 있는 직원을 배치했다”고 전했다.
한편, 홍콩은 최근 글로벌 암호화폐 허브 도약을 노리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금융 허브로서의 위상을 회복하기 위해 우호적인 암호화폐 규제를 바탕으로 새로운 기업가와 기술자, 투자자를 끌어들이겠다는 목표다.
당초 홍콩은 암호화폐 업계 초창기 FTX와 크립토닷컴, 비트맥스 등 외국 기업가들이 운영하는 암호화폐 기업의 주요 허브로 꼽혔다.
하지만 시장 변동성이 통제 불능 상태로 치닫자 투자자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암호화폐 활동을 엄격하게 규제하면서 관련 사업이 후퇴했다.
그러나 지난 2023년 6월 홍콩 정부가 개인 투자자의 암호화폐 거래를 합법화하면서 암호화폐 투자 열기가 다시 점화됐다.
또 홍콩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위한 샌드박스와 암호화폐 거래소 운영자에 대한 라이선스 제도 등 암호화폐 관련 활동을 규제하기 위한 일련의 조치도 시행했다.
이처럼 홍콩은 안정적인 규제를 무기로 암호화폐 허브로의 재도약을 공략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홍콩에서 열린 일대일로 포럼에서 홍콩의 암호화폐 업계 관계자들은 홍콩의 체계적인 암호화폐 규제를 강점으로 내세웠다.
포럼 주최 측인 실크로드 경제개발연구센터의 조셉 챈 의장은 “트럼프는 예측 불가능하지만, 홍콩의 규제는 일관성이 있다”고 소개했다.
또 존 리 홍콩 행정수반은 개회사에서 “실물자산의 블록체인 토큰화가 금융부문의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다”며 “1100개 이상의 기업이 참여하는 활발한 핀테크 생태계가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