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의회에 가상자산 진흥책을 논의할 가상자산 실무그룹이 구성된다.
미 의회 하원 금융서비스 위원회 프렌치 힐 위원장(공화·아칸소)은 4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의회 의사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상원과 하원 의원들이 가상자산 개발을 촉진하는 정책을 개발하기 위한 실무 그룹을 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앞서 지난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새로운 가상자산 규정을 제안하고, 미국이 가상자산을 비축하는 업무를 맡는 가상자산 실무 그룹 구성을 지시한 바 있다.
이 자리에서 힐 위원장은 “실무 그룹에 참여할 양당 의원들이 만들 가상화폐 관련 새 법안은 규제 프레임워크의 명확성을 제공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날 동석한 실무그룹의 수장이자, 트럼프 정부의 가상화폐 및 인공지능(AI)총책임자인 데이비드 색스는 실무그룹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의 지도력 하에서 미국을 가상화폐의 수도로 만들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가상자산 실무그룹은 가상자산 관련 정책을 백악관에 조언하는 역할을 한다. 미 재무부를 비롯해 법무부, 증권거래위원회(SEC),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등 정부 기구들이 관여한다. 여기에 미 의회도 합류를 선언했다.
특히 실무그룹은 가상자산 규제안을 마련하고, 국가 차원에서 미국의 가상 자산을 비축하는 방안에 대한 보고서를 향후 약 6개월 안에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출한다.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국부펀드 설립을 지시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일각에서는 국부펀드로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를 전략자산 축적 취지로 매입할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실무그룹은 크게 두 가지 방안을 마련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상화폐 업계에 대한 규제 완화와 비트코인 등 디지털 자산에 대한 국가 차원의 비축 방안이다.
행정명령에 적시된 가상화폐 업계에 대한 새로운 규제의 틀은 사실상 규제 완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기간부터 가상화폐 친화적인 공약들을 내놓으며 주목을 받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지난해 7월 ‘비트코인 콘퍼런스’에 참석해 가상화폐 산업 육성을 약속하면서 “미국이 지구의 가상화폐 수도이자 비트코인 강대국이 되도록 하겠다”고 공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