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스탄과 엘살바도르가 가상화폐 관련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파키스탄의 가상화폐 시장에 대한 열기 확산과 엘살바도르의 친(親) 가상화폐 정책이 맞물린 결과다.
1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빌랄 빈 사키브 파키스탄 가상화폐협의회 회장 겸 파키스탄 총리 특별보좌관은 전날 엘살바도르에서 나이브 부켈레 대통령과 만남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양측은 공식적인 외교관계를 체결하고, 가상화폐 등 디지털 자산과 관련된 전문지식 공유 등 다양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양측의 이번 협약은 파키스탄에서 최근 들어 가상화폐에 대한 열기가 드높아지기 시작한 가운데 체결됐다.
인구 약 2억5000만여명으로 세계 5위인 파키스탄에선 1500만~2000만명이 가상화폐를 보유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파키스탄 정부는 비트코인 채굴을 위해 2000메가와트(MW)의 전력을 배정했고, 국립 비트코인 저장소도 건립할 계획이다.
블룸버그통신은 “파키스탄 정부의 이런 조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월 취임한 직후 가상화폐 진흥을 위한 행정명령을 내린 데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다만 파키스탄은 국제통화기금(IMF) 차관을 받는 상황이어서 가상화폐 시장 참여 등과 관련해 제약을 받고 있다. 2023년 국가부도를 면한 파키스탄은 지난해 IMF로부터 70억달러(약 9조7000억원)의 차관을 받기로 했다. 차관 공여는 2027년까지 이어진다.
그런데 엘살바도르는 똑같이 IMF 차관을 받는 상황이기는 하나, 제약을 무시하고 가상화폐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IMF는 부켈레 대통령 정부의 가상화폐 관련 활동에 대해 다소 비관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
부켈레 정부는 IMF와 가상화폐 매입 중단 조건을 걸고 차관 도입 계약을 맺은 뒤에도 비트코인을 여전히 매입하고 있다.
대표적인 비트코인 낙관론자 중 한 명인 부켈레 대통령은 2021년 9월 세계 최초로 비트코인을 법정통화로 도입했다. 이후 국가적 차원에서 가상화폐 중심지로 도약하겠다는 전략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 엘살바도르는 시가 7억4500만달러어치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