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의 자오장펑 공동창업자를 전격 사면했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 은 23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자금세탁방지(AML) 규정 위반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던 자오에 대한 사면 조치에 서명했다”고 보도했다.
자오는 2017년 바이낸스를 설립해 세계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로 성장시켰다. 그러나 2023년 자금세탁방지법 위반 등 혐의로 기소돼 4개월간 복역했다.
이후 바이낸스 CEO 자리에서 물러나고, 43억 달러(약 5조9000억원)의 벌금을 납부해 징역형을 면했다.
이 사건으로 바이낸스는 2023년 이후 미국 내 영업도 금지됐다. 이번 사면으로 향후 바이낸스의 미국 복귀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헌법이 부여한 권한에 따라 자오를 사면했다”면서 “이 사건은 바이든 행정부의 지나친 기소였다. 해당 사건 판사도 이 개인(자오)에게 가혹한 과잉 형량을 추구했다고 인정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바이든 행정부는 가상화폐 산업을 처벌하려는 목적으로 사기 혐의나 신원이 확인된 피해자가 없음에도 자오를 추적했다”면서 “바이든 행정부의 이런 조치는 기술-혁신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미국의 명성을 훼손했다. 바이든 행정부의 가상화폐 전쟁은 끝났다”고 강조했다.
사면 후 자오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X·옛 트위터)를 통해 “오늘 사면에 깊은 사의를 표하며 공정성, 혁신, 정의에 대한 미국의 헌신을 지지하는 트럼프 대통령께도 감사드린다”면서 “미국을 가상화폐 수도로 만들고 전 세계적으로 웹3를 발전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인사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바이낸스가 트럼프 대통령 일가의 가상화폐 사업을 지원해 왔다는 점에서 이해충돌 논란도 불거지고 있다.
앞서 WSJ는 트럼프 대통령 일가가 가상화폐 사업을 통해 2024년 선거 이후 45억달러를 벌어들였고, 이는 바이낸스가 은밀히 관리하는 거래 플랫폼과 파트너십의 도움을 받았다고 보도한 바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월드리버티가 바이낸스와의 거래하는 방안을 논의했고, 자오가 석방 직후 월드리버티 공동창업자이자 트럼프의 중동 책사인 스티브 뒷코프와 회동했다”고 짚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