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인 테더홀딩스(이하 테더)가 최대 200억달러(약 28조원)의 투자 유치 협상을 진행 중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23일(현지시간) 사안에 정통한 두 소식통을 인용해 테더가 지분 약 3%에 해당하는 신주를 발행해, 사모투자 방식으로 150억~200억달러에 매각하는 초기 단계의 협상을 벌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번 투자에는 투자회사 캔터 피츠제럴드가 주관사로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 유치에 성공할 경우 테더의 기업 가치는 단순 계산으로 5000억달러(약 679조원)에 달하게 된다. 이는 스페이스X, 오픈AI 등 세계 최대 규모의 비상장 기업들과 비슷한 규모이다.
다만 이번 자금 조달 금액은 목표치일 뿐 최종 조달 규모와 기업가치는 제시된 수치보다 크게 낮아질 수 있다.
협상은 초기 단계이다. 이번 거래는 기존 투자자의 지분 매각이 아닌 신규 주식 발행을 통한 방식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미국 투자은행 캔터 피츠제럴드가 주간사 역할을 맡고 있다.
현재 테더는 잠재적 투자자들과 투자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르면 연내 계약 성사도 가능하다.
파올로 아르도이노 테더 CEO는 X에서 “일부 핵심 투자자 그룹을 대상으로 자금 조달을 검토 중”이라며 “이를 통해 스테이블코인, 유통, 인공지능, 에너지, 통신 등 기존 사업에 더해 신규 사업 전반까지 회사 규모를 수십 배로 확대할 것”이라고 전했다.
블룸버그는 이번 테더의 행보에 대해 “규제가 상대적으로 느슨한 암호화폐 업계에서 나온 매우 이례적인 성과”라며 “글로벌 자본시장의 관심이 집중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테더의 지배력은 압도적이다. 현재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테더의 USDT는 시가총액 1720억 달러를 돌파하며 압도적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경쟁사 서클(Circle) USDC(약 740억달러)의 시가총액에 두 배를 웃도는 수치이다.
또 테더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친암호화폐 기조를 계기로 미국 시장 복귀를 준비하고 있다. 미국 규제 틀 안에서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출시 계획을 발표했으며, 백악관 출신 인사를 영입해 프로젝트를 총괄하도록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