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이력을 여권처럼 관리하는 플랫폼이 블록체인 기술로 구현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블록체인 기술의 일상화를 위한 ‘2025년 블록체인 지원사업’으로 전기차 배터리 여권 등 11개 과제를 124억원을 투입해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
대표적 공공분야 지원사업은 전기차 배터리 이력 관리 플랫폼이다. 이 사업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배터리 전주기 시스템을 구축하고 실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부산시는 지역 내 전기차를 대상으로 배터리 전주기 데이터 이력을 관리하고, 이를 통해 유통·거래 체계 기반을 마련하는 등 배터리 순환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전기차 배터리의 제조부터 운행, 사용후 배터리까지 전 주기 이력을 통합 관리하는 ‘블록체인 기반 배터리 여권 플랫폼’을 구축한다. 부산시 소재 전기차 2500대 및 관련 배터리 기업을 대상으로 사업 실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블록체인 기반 가상병원 서비스’를 구축 및 실증한다. 이 서비스를 통해 비대면 진료-전자 처방-의약품 배송-실손보험 청구까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 올해 대구광역시 실증을 시작으로 전국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민간 분야에서는 공연 티켓 인프라 개발 사업이 추진된다.
안랩블록체인컴퍼니는 기존 예매 플랫폼에 별도 개발 없이 연동 가능한 ‘K-컬처 블록체인 티켓팅 인프라 서비스’를 개발한다. 이 서비스는 간단한 API 연동만으로 공연 티켓의 생성부터 유통, 검표까지 전 과정을 블록체인으로 투명하게 추적할 수 있다. 특히 암표 거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외에 리드포인트시스템은 운송 분야의 탄소배출권 거래를 지원하는 ‘운송 분야 탄소배출권 거래지원 및 관리 플랫폼’을 만들고, 블록오디세이는 식품의 생산부터 가공, 수출, 소비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통합 관리하는 ‘블록체인 디지털 유통 이력 플랫폼’을 개발한다.
수호아이오는 지류 및 디지털 상품권 유통에서 발생하는 불법 매입, 대리구매, 정산 지연 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상품권 플랫폼을 구축하고, 지크립토는 모바일 신분증 기반의 신원인증과 영지식증명(ZKP) 기술을 활용해 참여형 커뮤니티 플랫폼을 개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