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오창펑 바이낸스 창업자가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사면을 받은 것을 두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사면 발표 직후 미국 하원 의원 맥신 워터스는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이번 결정은 암호화폐 범죄자에게 내려진 막대한 특혜”라면서 “자오창펑의 자금이 트럼프의 개인 암호화폐 기업으로 흘러갔다”고 주장했다.
로 카나 미국 하원 의원도 “자오의 사면은 명백한 부패이다. 그는 자금세탁에 연루된 외국인 억만장자”라면서 “자오는 트럼프 대통령의 아들 에릭 트럼프가 운영하는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I)에 자금을 지원하고 사면을 얻어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카나 의원은 트럼프 대통령과 가족, 연방 의원들의 암호화폐 및 주식 거래를 전면 금지하는 법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대표적인 ‘반(反) 암호화폐’ 인사인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도 “부패의 전형”이라고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을 맹비난했다.
워런 의원은 “자오는 먼저 자금세탁 혐의에 대해 유죄를 인정한 뒤, 트럼프의 암호화폐 벤처 중 하나를 지원하고 사면을 위해 로비했다”면서 “트럼프는 그 대가를 치렀다. 의회가 이 같은 부패를 막지 못한다면 무법천지를 방관하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월스트리트저널 역시 “자오의 사면은 바이낸스가 트럼프 일가의 가상자산 회사를 지원하기 위해 수개월간 노력한 끝에 사면이 이루어졌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자오 사면과 관련된 기자들의 질문에 “모른다. 많은 사람이 그를 추천했다”며 “많은 사람이 자오는 유죄가 아니라고 말했다”고 일축했다.
사면 이후 자오는 자신의 X(옛 트위터) 계정에 “오늘의 사면과 공정, 혁신, 정의에 대한 미국의 약속을 지켜준 트럼프 대통령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미국을 암호화폐의 수도로 만들고 웹3를 전 세계로 발전시키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할 것”이라고 적었다.
바이낸스 측도 성명을 내고 “자오의 사면은 놀라운 소식”이라며 “미국을 암호화폐 수도로 만들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과 헌신에 감사드린다”고 인사했다.
자오는 바이낸스가 효과적인 자금세탁방지(AML) 프로그램을 구현하지 않고 미국의 경제 제재를 고의로 위반한 혐의 등을 받았다.
그는 혐의를 인정하고 법무부와 43억달러(약 5조7000억원) 규모의 합의에 동의하면서 CEO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지난 4월 시애틀 연방법원에서 징역 4개월을 선고받고 복역 중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