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일, 2월 5, 2025
HomeToday인도, 암호화폐 입장 재검토…"글로벌 변화 수용"

인도, 암호화폐 입장 재검토…”글로벌 변화 수용”


인도 정부가 글로벌 암호화폐 정책 변화 흐름에 맞춰 자국의 암호화폐 규제 체계를 재검토하고 있다.

로이터통신, 코인게이프 등 은 2일(현지시간) 인도가 글로벌 암호화폐 정책 변화와 맞물려 자국의 암호화폐 규제 체계를 재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는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이 새로운 암호화폐 규제를 도입하면서 인도 역시 이에 발맞춰 규제 환경을 조정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아제이 세스 인도 재무부 경제담당 차관은 “암호화폐는 국경을 초월하는 특성을 지키고 있다”면서 “다수 국가들이 암호화폐 사용과 수용에 대한 입장을 변화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암호화폐 규제에 대한 논의 문서를 다시 검토 중”이라며 “다수 국가들이 암호화폐 사용과 수용에 대한 입장을 변화시키고 있다. 인도 역시 글로벌 추세에 맞춰 규제 방향성을 조정하고 있다”고 전했다.

따라서 인도 정부가 2024년 9월 발표할 예정이었던 암호화폐에 대해 검토한 보고서의 발표가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로이터통신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암호화폐 친화적인 발표하면서 인도의 암호화폐 보고서 공개는 보다 지연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인도는 암호화폐 사용에 대해 높은 세율과 엄격한 규제를 적용하는 국가 중 하나다.

실제로 인도 금융정보분석원(FIU)은 2023년 12월 규제를 준수하지 않은 9개의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에 소명 요구서를 발부했으며, 2024년 6월에는 바이낸스에 225만 달러(1억8820만 루피)의 벌금을 부과하기도 했다.

또 인도 정부는 현재 암호화폐에 대해 30%의 자본 이득세를 부과하고 있다. 장기 투자와 단기 거래에 차이를 두지 않고 동일한 세율이 적용된다.

아울러 인도 정부는 2025년 2월부터 암호화폐 투자로 발생한 미신고 수익에 대해 최대 70%의 벌금을 부과하는 새로운 세금 규제를 시행할 예정이다. 이는 인도의 소득세법 개정에 따라 적용되며, 미신고 수익은 최대 4년 치 세무 감사에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인도 내에서 암호화폐 투자는 활발한 것으로 보인다. 로이터통신은 “최근 몇 년 동안 엄격한 정부 규제와 높은 거래세에도 불구하고 인도인들은 암호화폐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고 짚었다.

RELATED ARTICLES

Most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