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가 비트코인을 국가 준비금에 편입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논의 중이다.
6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포스트 등은 인도네시아 재무부와 중앙은행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인도네시아 정부가 최근 비트코인을 국가의 안정적인 재정을 뒷받침할 수 있는 전략적 자산으로 평가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비트코인이 단순한 투기성 자산을 넘어, 인플레이션 헤지(위험 분산) 수단이자 장기적인 가치 저장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와 관련해 가상자산 업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비트코인 인도네시아’ 커뮤니티 단체는 최근 인도네시아 정부를 만나 경제 성장을 이끌 방법의 하나로 ‘비트코인 전략준비자산 채택’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인도네시아 부통령실 요청에 따라 비트코인이 인도네시아 경제에 미칠 긍정적 영향을 프레젠테이션 하고, 경제 전략의 미래에 대해서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 ‘비트코인 인도네시아’는 국가 준비금 전략의 일환으로 비트코인 채굴을 추진하는 방안이 있으며, 이를 위해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 글로벌 암호화폐 채택 추세와 주요국들의 준비자산 구성 변화를 소개하면서 비트코인 채굴 및 보유가 거시경제적 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다는 논리를 펼치고, 장기 국가경제 목표와 연계한 비트코인 전략도 함께 제시했다.
한편, 인도네이사 재무부는 이번 달부터 암호화폐 거래 세율을 대폭 인상한다고 발표해 업계의 반발을 샀다.
재무부는 인도네시아 거래소 판매 시 세율은 기존 0.1%에서 0.21%로, 해외 거래소에서는 0.2%에서 1%로 5배 인상했다.
아울러 구매자에 대한 부가가치세(VAT)는 폐지되고, 채굴 사업의 VAT 세율은 1.1%에서 2.2%로 인상됐다.
이러한 조치는 인도네시아에서 암호화폐 투자가 빠르게 확대되는 가운데, 세수 확보와 해외 유출을 억제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실제로 인도네시아 암호화폐 시장은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4년 현지 거래액은 전년 대비 3배 증가한 650조루피아(약 55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