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언론 보도에 따르면,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가 판교 사옥을 찾은 국민의힘 코인게이트 진상조사단(조사단) 소속 의원들에게 위믹스 관련 의혹을 소명했다. 최형두, 김성원, 윤창현, 박형수 의원 등으로 구성된 이번 조사단은 이날 판교에 위치한 위메이드 본사를 방문했다.

조사단장을 맡고 있는 김성원 의원은 방문 목적에 대해 “김남국 의원이 위믹스를 대량 보유했다는 사실이 알려진 이후 위메이드는 줄곧 논란의 중심에 서 있었다. 진상조사단은 게임산업과 위메이드 발전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말씀도 반드시 드린다”면서, “그 전에 국민적 의혹에 대해 짚고 넘어갈 것은 짚고 넘어가자는 의도”라고 설명했다.
조사단이 본격적으로 질의하기에 앞서 장현국 대표의 사전 설명이 이어졌다. 조사단에 따르면 이번 논란의 핵심 쟁점은 ‘유통량과 프라이빗 세일(개인거래), 에어드랍’ 세 가지다.
장현국 대표에 따르면, 위믹스 홈페이지에 게제된 분기 보고서 상 재단은 위믹스 2억 3천만 개를 유통하고 있으며 유통량을 모두 파악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프라이빗 세일과 관련해 장 대표는 “2020년 거래소 상장 이후 퍼블릭 세일이 가능해짐에 따라 진행됐고 이후에는 없다. 프라이빗 세일은 총 4건이 있고, 그 외에는 없다”고 강조하면서, “김남국 의원에게는 판매한 적이 없다”고 못박았다.
또한 에어드랍을 통해 위믹스를 얻었다는 김남국 의원의 주장에 대해서는 불가능한 일이라고 일축했다. 장 대표는 “에어드랍은 마케팅 이벤트인데, 이를 통해 누군가에게 큰 규모가 전달됐다고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이날 윤창현 의원은 위메이드가 국내 2위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의 모회사인 비덴트에 투자했던 것에 대해 “이해충돌 소지가 있다”며, “위메이드가 비덴트에 BW와 CB를 사서 1천억을 투자하며 거래소인 빗썸의 사내이사가 됐는데, 이때가 김남국 의원이 위믹스를 보유한 시기였다. 김 의원의 코인 보유 보고를 받았냐”고 물었다.
이에 장 대표는 “가상화폐뿐만 아니라 거래소 자체도 미래가 있는 산업이라고 판단해 투자한 것 뿐”이라며, “이해충돌 소지는 당시에도 제기됐으나 금융위원회에서도 실태조사를 통해 문제가 없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김 의원 보유 사실은 전혀 몰랐고 이상거래에 대한 보고도 받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비덴트 투자 이유는 2021년 초 빗썸 매각설이 있었고 거래소의 미래 가능성이 커서 인수전에 참여했다”고 덧붙였다.
또 박형수 의원이 “P2E 법안 통과를 위해 위메이드가 국회의원 등에게 로비를 진행한 적이 있냐”는 질문을 하자, 장 대표는 “글로벌에서는 P2E가 활성화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요원하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한국의 게임법이 모순됐다고 알리긴 했다. 위메이드에서 국회의원을 만난 적은 있을테지만 내가 직접 만난 적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최근 ‘위믹스 국회 로비설’에 휘말린 위메이드가 한국게임학회를 상대로 칼을 빼들었다. 지난 17일 위메이드는 한국게임학회 및 위정현 학회장을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형사고소했다고 발표했다.
이날 위메이드는 공식 입장문을 통해 “한국게임학회와 위 학회장은 그동안 확인되지 않은 의혹과 소문, 추측, 언론 인터뷰 등으로 당사 위메이드의 정상적인 기업활동을 부도덕한 이미지로 덧씌우는 행위를 지속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서 “특히 ‘위믹스 사태’, ‘위믹스 이익공동체’ 등의 자극적인 단어를 마치 사실인 것처럼 학회 성명서에 표기했을 뿐만 아니라, 언론 기고문이나 인터뷰 등에서 당사가 국회에 불법적인 로비를 해 온 것처럼 주장함으로써 당사의 기업 이미지를 크게 실추시켰다”면서, “한국게임학회를 상대로 민사소송도 검토 중이며, 위메이드 주주와 위믹스 커뮤니티, 투자자들이 입은 막대한 손해까지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앞서 지난 10일 한국게임학회는 ‘위믹스 사태와 관련해 여야 국회의원과 보좌진에 대한 전수 조사를 요구한다’는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당시 한국게임학회 측은 “만일 국회 관련자가 위믹스를 보유했다면, ‘위믹스 이익공동체’에 가담한 셈이 된다”면서, “P2E게임에 대한 허용 요구가 여야를 막론하고 국회를 중심으로 계속 분출한 것은 바로 이런 이익공동체가 형성된 결과가 아닌가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