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입자의 암호화폐 채굴로 전기요금 ‘폭탄’을 뒤집어쓰게 된 말레이시아의 한 집주인 사연이 화제다.
26일(현지시간) 현지 매체 신츄일보 등에 따르면 사라왁주에 사는 왕모씨는 지역 전력회사로부터 지난해 무려30만 링깃(약 9907만원)에 달하는 고액의 요금 독촉장을 받았다.
해당 독촉장에는 기한 내에 요금을 미납하면 왕씨 집의 전력 공급이 끊길 것이라는 경고도 적혀있었다.
어마어마한 전기를 사용한 건 몇 년 전에 왕씨네 집에 살았던 말레이 반도 출신의 세입자였다. 왕씨는 단층집인 주택을 이 세입자에게 월세 1200링깃(약 40만원)으로 세를 줬다.
이 세입자는 월세는 물론 기타 공과금도 제때 납부해 한번도 밀린 적이 없었고, 왕씨는 괜찮은 세입자를 들였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임대 첫해에만 임대 계약서를 작성했고, 이후 3년 동안에는 구두로만 합의해 임대 계약을 연장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 세입자는 왕씨 몰래 단독집에서 암호화폐 채굴을 해오면서 막대한 전력을 사용하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통상 암호화폐를 신규 채굴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학 문제를 풀어야 한다. 이 때문에 암호화폐 채굴은 전력 소모에 따른 환경문제가 심각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여기에 컴퓨터의 과열을 막기 위한 냉각 장치 구동에도 많은 전력이 필요하다.
이에 암호화폐 채굴업자들이 비교적 전기요금이 싼 국가에서 작업을 하거나, 몰래 전기를 훔쳐 채굴 작업을 벌이고 있다.
왕씨는 세입자가 채굴을 하는지 전혀 모르고 있다가, 지난해 전력회사로부터 어마어마한 전기요금 청구서를 받아들고 나서야 이러한 사실을 알게 됐다.
왕씨에게 전기요금 폭탄을 안긴 세입자가 전기를 훔쳤는지 여부는 언급되지 않았으나, 왕씨가 몇 년 동안 막대한 전기 사용량을 몰랐던 점을 볼 때 문제의 세입자 역시 전기를 몰래 훔쳐 썼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왕씨는 전력회사의 전기요금 청구가 부당하다면서 현지 주요 정당에 억울함을 호소하며 도움을 요청했다.
정당 관계자는 전력회사가 집주인에게 전기요금을 청구한 것은 불합리하다며 자신이 운영하는 로펌에 해당 사건을 처리하도록 조치한 것으로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