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성인 4명 중 1명은 현재 가상자산을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자산 투자가 대중화됐다는 분석이다.
12일 블록체인 투자사 해시드는 해시드오픈리서치는 ‘한국 가상자산 투자자 그들은 누구인가?’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는 20대에서 60대 성인 인터넷 사용자 2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 결과가 담겼다.
조사에서는 1인 당 가상자산 보유 규모 및 투자 이유, 향후 투자를 늘릴지 여부, 이용 중인 국내·외 거래소 및 예치 규모, 탈중앙화거래소(DEX) 이용 여부, 가상자산 보관 방식 등을 확인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가상자산 보유율은 25%(507명)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 성인의 19%가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보다 높은 수준이다.
특히 30대는 절반 이상인 54.0%가 가상자산 투자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이외에 40대는 43.0%, 20대는 38.8%로 집계됐다.
비교적 높은 연령대인 50대의 경우에도 33.2%로 20대와 큰 차이가 없었으며, 60대도 19.0%가 가상자산 투자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현재 보유 중인 가상자산 규모를 살펴보면 100만 원 이상~500만 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전체의 25%로 가장 높았다. 이외에 50만 원 미만 보유자는 20.5%, 500만 원 이상~1000만원 미만 보유자와 1000만 원 이상~5000만 원 미만을 보유하고 있다는 응답은 각각 15.2%, 16.6%가 있었다.
응답자 가운데는 1억 원 이상의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도 3.6%가 있었다.
현재 가상자산 투자를 하고 있진 않지만 향후 투자를 고려하고 있는 투자자도 11.4%로 적지 않았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안정되고 투자할 수 있는 여유 자금도 상대적으로 많은 40~60대의 경우에 가장자산 투자를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보고서는 향후 전 연령대에서 가상자산 투자가 더 대중화될 수 있을 것으로 진단했다.
가상자산 투자자 51%는 투자 이유로 단기적으로 다른 자산대비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주변인의 추천(47%), 입출금의 편리함(39%), 24시간 거래 가능(23%) 등 높은 수익률과 잘 조성된 투자 환경 등도 투자 이유로 꼽았다.
해시드오픈리서치 관계자는 “가상자산 투자가 대중화되고 투자 저변이 확대되는 것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으로 보인다”면서 “해외 여러 국가들이 가상자산을 제도화하는 추세를 따라 우리나라도 가상자산을 빠르게 법제화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