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도입을 재검토한다.
2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은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영란은행(BoE)이 소비자용 디지털 통화 도입 필요성에 대해 내부적으로 신중한 재검토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영란은행은 시중 은행들에게 자체 결제 혁신에 집중할 것을 권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기존 은행들이 자체 결제 혁신을 추진하도록 유도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는 것이다.
앤드루 베일리 영란은행 총재는 “상업은행이 성공하면 새로운 화폐를 만들 이유가 없을 것”이라고 말하며 기존 금융 시스템을 활용한 디지털 혁신을 우선시하는 입장을 보였다.
소식통은 “영란은행은 CBDC를 발행하지 않으면서도 이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결제 시스템의 혁신을 물밑에서 은행권에게 촉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영란은행은 타당성이 확보될 경우 CBDC 발행을 위한 준비를 이어가되 민간기업들이 새로운 전자결제 시스템을 도입할 경우 (CBDC 발행에서) 물러날 의향이 있다”며 “영란은행 직원들은 디지털 파운드화 도입에 따른 실익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영란은행이 소비자용 CBDC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영란은행은 영국 재무부와 공동으로 “향후 디지털 파운드가 필요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러한 영란은행의 행보는 영국의 CBDC 개발은 다른 주요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처진 상황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미 국책연구기관 애틀랜틱카운슬에 따르면 영국은 다수의 외부 저항에 직면하면서 아직 CBDC 개발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최종 도입 여부는 결정되지 않았다.
또 전 세계적으로 국가 주도의 디지털 통화에 대한 기대가 약화되는 분위기도 반영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일례로 미국 하원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의 CBDC 발행을 금지하는 ‘CBDC 감시 국가 방지법안’를 통과시켰다.
블룸버그는 “영란은행의 입장 변화는 스테이블코인과 기타 결제 혁신이 등장함에 따라 국가가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이 감소하고 있음을 반영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