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언론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 가상자산 업체들의 연이은 파산신청으로 크립토 윈터가 지속된데 이어 올해는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서도 크고 작은 이슈들이 발생하며 투자자들의 피해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현재도 마련되지 못한 관련 규제의 부재로, 보상 방안도 미비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보유한 가상자산을 보다 안전한 장소에 맡기는 방법을 선택할 수밖에 없을 것이란 진단이 나온다.
최근 씨파이 업체 하루인베스트에 이어 델리오마저 출금을 돌연 중단하면서 서비스 이용자들의 예치금 반환 가능성이 묘연해진 상황인데, 델리오는 금융당국으로부터 가상자산사업자(VASP) 신고를 완료한 업체임에도 문제가 생겼기 때문에 가상자산 시장 전반에 대한 투자자 불신이 더욱 커질 수밖에 없게 됐다. 다만 델리오의 경우에도 가상자산 ‘예치 서비스’로 VASP 신고 수리를 받은 것은 아니기 때문에 사실상 두 업체 모두 회색지대에서 영업을 이어온 셈이다.
업계에선 이를 두고 현재 일부 가상자산 거래소로 몰려있는 거래량을 더욱 공고히 할 것이란 예측을 내놓는다.
업계 관계자는 “가상자산 예치운용 업체에 문제가 발생하면서 비슷한 사업을 하고 있는 업체도 사업 영위가 가능할지에 대해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며, “가상자산과 관련한 서비스 다각화도 제한을 받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발생한 가상자산 운용 업체 러그풀 의혹으로,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가상자산 매매 서비스만 자리잡게될 것이라는 진단이다.
현재 시장에는 헤이비트, 샌드뱅크 등 동일한 가상자산 예치 운용업을 영위 중인 업체들이 남아있는 상황이며, 두 업체는 모드 하루인베스트 이슈와 무관하다는 공지를 올리며 선을 그은 상태다.
한편, 이와 관련해 코인게코에 따르면 최근 1년간 국내 5대 원화거래소 평균 일일 거래량은 업비트(2조2472억 원), 빗썸(3834억2300만 원), 코인원(1013억2464만 원), 코빗(53억6264만 원), 고팍스(36억5561만 원)순으로, 1위 거래소 업비트와 타 거래소 간 거래량 차이가 극심한 상황. 거래소 간 제공하는 서비스 편차가 크지 않아 유동성이 많은 대형 거래소로 몰릴 수밖에 없는 탓이다. 결국 가상자산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단순해질수록 현재 독점 체제가 앞으로도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특히 업비트에 거래량이 몰리는 배경에는 막대한 유동성 외에도 안정적 재정을 바탕으로 한 투자자 보호 선례가 있기 때문이다.
앞서 업비트는 지난 2019년 580억 원 규모의 가상자산을 해킹당했는데, 손실 금액을 모두 회사 자산으로 충당한 바 있다. 2019년 말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당시 충당 비용을 ‘기타영업외비용’으로 처리했다.
돌연 입출금을 중단하고 SNS 소통창구 및 사무실까지 폐쇄한 최근 사례와는 사뭇 대조적인 모습이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