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트럼프 코인’($TRUMP) 보유자들을 위한 행사를 진행하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친(親) 가상화폐 움직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5일(현지시간) 영국의 일간 가디언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가상화폐 산업 규제 완화 추진은 여러가지 윤리적·법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2~23일 이틀간 워싱턴DC 인근 ‘트럼프 내셔널 골프클럽’과 백악관에서 트럼프 코인의 대량 보유자들을 초청해 회동한 것을 두고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이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트럼프 밈코인 구매자들은 모두 1억4800만달러(약 2018억원)를 지출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또 트럼프 코인 보유자 행사 참석자 가운데 가상화폐 기업 트론의 창립자이자 중국 태생의 가상화폐 재벌 저스틴 선이 포함된 것도 논란이 된다.
저스틴 선은 트럼프 일가의 암호화폐 기업인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에 7500만달러를 투자한 데 이어 행사 직전에 트럼프 밈코인 2000만달러어치를 구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선이 2023년 미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사기 혐의로 고발돼 조사받은 바 있다는 점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트럼프 일가 사업에 대한 선의 투자가 ‘이해 충돌’ 소지가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이러한 상황들을 토대로 미국 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개인적 이익을 위해 전례가 없이 위험한 방식으로 대통령직을 이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리처드 브리폴트 컬럼비아대 로스쿨 교수는 “트럼프는 밈코인 수익 창출을 위해 자신에게 접근할 수 있는 권리를 마케팅하고 있다”면서 “이는 최고 규제 책임자인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기 위해 사람들이 돈을 낸다는 것으로, 미국 역사에서 이런 일은 없었다”고 지적했다.
가디언은 “트럼프 대통령은 2기 정부 전부터 자신이 친(親) 가상화폐 대통령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가상화폐 관련 규제 완화를 공언해왔다”면서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SEC가 암호화폐와 관련한 조사와 기소를 중단하거나 보류한 사례는 12건이 넘는다”고 짚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아들들은 암호화폐 벤처에 관여해 공격적으로 투자를 확대해 왔기에 이해충돌 우려를 제기하는 목소리는 계속되고 있다”며 “일각에선 트럼프 대통령의 암호화폐 관련 행보가 미국의 국가안보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