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미국 재무부가 발표한 반기 별 규제 안건에서, 암호화폐 이체에 법정화폐 송금 관련 규제 적용이 예고됐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S)와 금융범죄단속네트워크(FinCEN)는 은행비밀보호법(BSA)상 돈을 재정의하고 통화와 동등한 가치를 갖거나 대체재 역할을 할 수 있는 암호화폐의 국내·국가 간 이체에 대한 규제를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해당 규제는 아직 시행이 확정되지는 않았으며, 시행 승인 여부에 따라 2025년 9월 최종 안이 발표될 전망이다.
또한 이날 최근 ‘엔화 강세’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는 암호화폐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네덜란드 ING 은행은 “최근 엔화 강세 전망으로 인해 외환시장에서 엔화 매수 분위기가 형성됐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코인데스크는 “지난달 말과 이달 초 일본의 금리 인상으로 인한 엔 캐리 트레이드(Carry Trade·금리가 낮은 통화로 자금을 조달해 금리가 높은 금융상품에 투자하는 트레이딩 방법)발 암호화폐 시장 약세를 경험한 바 있기 때문에, 엔화 강세로 인한 부정적 영향이 우려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9월 중순 예정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 인하 가능성에 힘입어, 캐리 트레이드 침체가 몇 주 안에 개선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기도 하다”고 부연했다.
한편, 같은 날 호주증권투자위원회(ASIC)가 투자사기 근절을 위해 암호화폐 관련 웹사이트 615개를 포함 총 7,300개 이상의 피싱 및 투자 사기 웹사이트를 삭제했다고 발표했다.
ASIC는 “투자 사기는 호주인들의 가장 중대한 재정적 위협으로 자리잡았다. 2023년에는 투자 사기로 인한 손실이 13억 달러(=1조 7,355억 원)에 달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