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마다 폭등과 폭락을 반복하던 비트코인의 전통적 사이클이 깨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비트코인의 전통적인 사이클이란 비트코인이 4년 주기로 폭등과 폭락을 반복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비트코인은 채굴량이 4년마다 절반씩 줄어드는 이른바 ‘반감기’ 효과가 사이클을 부르는 원인이다. 매번 반감기 주기마다 비트코인은 급등하며 사상 최고치까지 치솟았다가, 이후에 고점 대비 70~80% 폭락했다.
10일(현지시간) 미국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비트와이즈 자산운용의 메튜 휴건 최고 투자책임자(CIO)는 인터뷰에서 “공식적으로 확언하기는 어렵지만, 우리는 비트코인의 4년 사이클이 끝났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만일 4년 주기 패턴이 반복되고 있다면 비트코인은 오는 3분기와 내년 1분기에 급격히 상승해야 하지만, 과거 패턴 대비 최근 흐름은 변동 폭이 매우 줄었다”고 짚었다.
이어 “2026년에 실제로 양호한 수익률이 나와야 공식적으로 사이클이 끝났다고 할 수 있지만, 사실상 종료됐다고 보고 있다”고 진단했다.
코인데스크의 분석가 삭샴 디완도 “이전 비트코인 사이클에서는 반감기 후 12~18개월 사이에 최고가가 나왔다”면서 “하지만 작년 4월 반감기를 앞두고 비트코인은 3월에 이미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과거 사이클과 달리 반감기 이후가 아닌 이전에 최고가를 기록한 사례”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번에는 ETF(상장지수펀드) 수요가 반감기 효과를 무력화했다. 작년 1월 미국에서 비트코인 ETF가 승인되면서, 투자자들이 실제 비트코인을 보유하지 않고도 가격 변동에 투자할 수 있게 된 것”이라면서 “기관 자금 흐름이 기존 사이클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첫 명확한 신호였다”고 지적했다.
암호화폐 투자자이자 작가인 제이슨 윌리엄스는 자신의 X를 통해 “상위 100개 비트코인 보유 기업이 보유한 물량이 거의 100만 BTC에 달한다”며 “이것이 바로 비트코인 4년 주기의 종말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솔로브 프로토콜의 라이언 차우 공동 창업자 역시 “비트코인이 70~80% 폭락하던 시대는 이제 끝났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