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정부가 비트코인을 국가의 전략적 준비금으로 도입할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언급했다.
29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포스트에 따르면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브라질 대통령 행정부의 고위 관계자인 페드로 지오콘도 게라 수석보좌관은 연방 정부를 대표해 “비트코인 준비금 창설이 나라의 번영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비트코인 전략 비축은 국가 번영을 위해 필수적”이라며 “관련 논의는 브라질의 번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대중들의 이익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비트코인은 인터넷의 금이다. 전 세계 부를 신속히 이전하고 가치를 안전하게 저장한다”면서 “브라질 의회는 외환보유고의 5%를 비트코인으로 보유하는 법안을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앞서 브라질 부통령의 비서실장인 페드로 조콘도 게가 국회 공식 행사에서 “비트코인은 디지털 골드이며, 노동의 결실을 안전하게 저장하고 세계 어디로든 전송 가능한 기술”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그는 “디지털 자산으로서 비트코인은 글로벌 부의 흐름을 재편하고 국가의 노동 성과를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이라며 “비트코인을 전략적으로 보유하는 것은 브라질의 재정안정성과 거시경제적 주권 확보에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현재 브라질 하원에서는 전략적 주권 비트코인 준비금(RESBit) 창설을 제안하는 법안이 제출됐다. 지난해 11월 에로스 비온디니 브라질 하원의원이 발의한 법안은 국가 외환 보유액의 최대 5%를 비트코인으로 편입하는 내용을 핵심으로 한다. 고급 모니터링 시스템과 블록체인 기술, AI를 활용해 가상자산 거래를 감시하는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이는 비트코인을 단순한 투자 목적을 넘어 국가 경제의 안정성과 미래 성장 동력으로 판단하고 확보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따라서 비트코인 준비금 법안이 통과되면 브라질은 미국, 엘살바도르에 이어 비트코인을 국가 전략에 편입하는 또 하나의 주요 국가가 될 전망이다.
이외에도 브라질은 이미 세계 최초로 엑스알피(XRP) 현물 ETF를 승인한 국가이며, 솔라나 현물 ETF를 포함해 다양한 암호화폐 투자 상품을 제공하는 등 가상자산에 친화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