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중앙은행이 테더(USDT)와 같은 자체 수탁형 스테이블코인 거래 금지를 제안한 이후, 스테이블코인 업계의 탈중앙 전환이 가속화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6일(현지시간) 외신 보도에 따르면, 앞서 브라질 중앙은행은 지난 11월 29일 테더를 비롯한 자체 수탁형 스테이블코인 거래 금지를 공식 제안했는데, 이는 내년 2월 공개 협의를 통해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해 에어리어 비트코인의 캐럴 소자 공동 창립자는 “브라질 중앙은행의 스테이블코인 제한은 브라질 거래 플랫폼 외부에서 스테이블코인 거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라며, “향후 P2P 거래 등 개인 거래에서도 스테이블코인 금지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점쳤다.
다만 개인 거래까지 제한할 방법은 마땅치 않다는 의견도 나온다.
트레저의 루시앙 부르동 분석가는 “정부가 중앙집중형 거래소를 규제할수는 있지만, P2P 거래와 탈중앙 플랫폼까지 통제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금지령이 시행 되더라도 생태계 일부에만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만약 법안이 통과된다면 사용자들은 분산형 플랫폼으로 이동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반면 이날 트론(TRX) 네트워크에서 발행되는 스테이블코인 테더(USDT)의 거래량이 작년과 비교해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현지시간) 온체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의 분석가 ‘maartuun’은 “지난 1년 6개월 동안 트론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테더의 평균 거래 규모가 크게 증가했다”면서, “올해 12월 테더 평균 거래액은(9718달러) 작년 6월(4273달러)와 비교해 약 2배 이상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이러한 온체인 평균 거래량 급증은 트론 네트워크 투자자들의 할동이 활발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면서 트론의 가격 상승 여력을 전망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