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파이(DeFi, 탈중앙화 금융) 생태계에서 실물연계자산(RWA)이 주목을 받게 된 배경에는 지속가능한 수익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29일 디스프레드 리서치 팀의 ‘지속 가능한 일드 파밍을 위한 여정’ 보고서에 따르면 여러 디파이 플랫폼들은 토큰 가격 하락에 의한 서비스 지속성 저해를 막기 위해 자산을 가상자산 시장에 접목시키고 있다.
특히 디이 플랫폼들은 이용자에게 이익을 분배하기 위한 수단으로 파이 생태계 밖에서 유동성을 끌어오는 방안에 주목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유동성 채굴, 리얼 일드 등이 해당된다.
당초 디파이는 2020년 6월 렌딩 프로토콜 컴파운드가 거버넌스 토큰을 발행해 이를 유동성 공급자와 대출자에게 분배하는 것을 시작으로 다른 업체들도 유동성 채굴을 적극 도입하며 확산세가 시작됐다.
하지만 유동성 채굴 전략은 디파이 자체 토큰의 매수 요인 부재, 가격 하락으로 인한 이자율 감소 등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디파이 시장의 유동성 유입이 감소하던 가운데 ‘테라·루나 사태’가 발생하면서 본격적인 암흑기에 접어들었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고자 리얼 일드 전략이 나왔다. 리얼 일드는 자체 토큰에 거버넌스 참여 이외의 활용성을 부여하고 프로토콜이 실제로 발생시킨 수익을 유동성 공급자 등에게 분배해 이용자들이 자체 토큰을 매수할 동기를 부여한다.
그러나 리얼 일드도 한계점이 존재한다. 리얼 일드는 유동성 공급자들이 받아야 할 수수료를 거버넌스 토큰 보유자에게 분배하기에 다른 프로토콜에 비해 유동성 공급자들이 불리해지며 이로 인해 초기 유동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디파이 플랫폼들은 토큰 경제를 활용한 유동성 확보와 지속 가능한 수익 제공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다 잡기 위한 방안으로 RWA와 베이시스 트레이딩 등에 집중하고 있다.
이와 관련 RWA 대표 주자인 메이커다오는 2022년 5월 자체 스테이블 코인 DAI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이더리움에 편중되어 있던 DAI의 담보 자산에 RWA를 포함하자는 ‘엔드 게임’ 계획을 제안했다.
김병준 디스프레드 리서처는 “많은 전통 금융 기관이 RWA 산업에 진출하고 있다”면서 “베이시스 트레이딩 모델이 아직 도입 초기인 점을 감안할 때, 두 모델의 영향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진단했다.
이어 “앞으로는 사용자 친화적인 댑 등장으로 인해 증가한 블록체인 트래픽과 수수료를 활용해 높은 수준의 이자를 창출하는 모델들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