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나무가 자체 블록체인 ‘기와체인’과 ‘기와월렛’을 공개해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9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에서 열린 ‘UDC 2025’ 오프닝 세션에서 ‘기와체인’과 ‘기와월렛’을 최초로 공개했다.
‘기와체인’은 옵티미스틱 롤업 기반의 레이어2 블록체인이다. 두나무는 안정적인 거래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업비트 거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객신원확인(KYC)과 자금세탁방지(AML)을 갖춘 체인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국내에서 스테이블코인의 안정적인 발행과 유통이 가능해진다.
해당 체인은 짧은 블록타임과 낮은 수수료가 강점으로, 기관 서비스 진입을 위한 ‘온체인 베리파이’ 기능도 갖췄다. 업비트가 가진 자산·시세 데이터를 오라클로 제공, 금융 서비스와 연결할 수 있게끔 했다.
‘기와월렛’은 두나무가 UDC 2025에서 최초로 공개한 셀프 커스터디 지갑(수탁지갑)으로, 자체 블록체인 기와(GIWA)를 활용할 수 있도록 내놓은 서비스다.
이 서비스는 기존 웹2 서비스뿐만 아니라 웹3 서비스에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개발자에게는 친화적인 구조를 제공하고, 이용자들은 업비트 계정과 연동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용자는 기와월렛을 통해 직접 자산을 보관·송금·관리할 수 있다. 현재 이더리움·베이스·옵티미즘·아비트럼·폴리곤·아발란체·기와체인 등 주요 네트워크를 우선 지원하며, 추후 확대될 예정이다.
‘기와’라는 이름에는 기와가 겹겹이 쌓여 지붕을 이루고 수백 년간 비바람을 막아왔듯,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체인이 되겠다는 의미가 담겼다.
송원준 두나무 크립토 프로덕트 리드는 “기와는 한국에서 시작해 글로벌에 제시하는 웹3의 새 기준”이라며 “천년간 한 장 한 장이 쌓여 단단해지고 지붕을 완성한 기와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소개했다.
오 대표는 “금융 친화적인 블록체인을 내놓을 예정”이라며 “국내 개발자들이 기와체인에서 다양한 블록체인 서비스를 창조하고, 글로벌 웹3 시장에서 소외되지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거래소들은 파생상품 거래가 불가능하고, 해외 투자자의 진입도 막혀있으며, 법인 투자도 시범적으로 허용될 예정”이라며 “적어도 미국 기업들이 진행 중인 사업을 한국도 가능하도록 정책적 지원이 이뤄져 당당히 경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