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를 끌고 있는 스테이블코인 등 디지털 자산에 대한 감독이 부실할 경우 수조원 규모의 구제금융을 투입해야 하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는 노벨 경제학자의 경고가 나왔다.
2014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프랑스 툴루즈대의 장 티롤 교수는 1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 인터뷰에서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감독이 매우 미흡해 우려가 크다”고 짚었다. 스테이블코인은 법정화폐나 금 같은 자산의 가치와 일대일로 연동한 가상자산이다.
그는 “이러한 관리 감독의 부족과 연동된 준비 자산에 대한 의구심이 현실화되면 예금자들의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이 벌어질 가능성이 매우 우려된다”고 경고했다.
이어 “스테이블코인은 개인 사용자들에게 완전히 안전한 예금처럼 보일 수 있지만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면서 “개인이나 기관이 스테이블코인을 ‘예금성 상품’으로 잘못 인식했다면, 향후 문제가 발생했을 때 정부 주도로 높은 비용이 수반되는 구제금융 요구를 부를 수 있다”고 강조했다.
티롤 교수는 “미국 정부의 가상자산 육성 정책에 따라 스테이블코인 시장 규모은 계속 커질 것”이라며 “하지만 미 국채로 스테이블코인의 가치를 담보하는 관행이 국채의 낮은 수익률(이자) 때문에 인기를 잃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팬데믹 시기의 확장적인 통화 정책으로 미 국채 금리는 몇 년간 마이너스(-)를 기록했고 인플레이션까지 고려하면 실제 수익은 더 낮았다”며서 “이렇게 되면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는 리스크가 큰 자산에 투자하려는 유혹에 빠지게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럴 경우 스테이블코인 준비 자산의 가치가 하락해 투자자들의 뱅크런을 유발할 가능성이 커진다”면서 “그런 시나리오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의 페그(peg)가 붕괴되면서 가격이 하락할 수 있다”고 말했다.
티롤 교수는 “감독 당국이 충분한 인력을 보유하고 주의해야 할 유인이 있다면 이런 위험을 관리할 수 있으나, 그럴 가능성은 극히 낮다”면서 “특히 (미국) 행정부의 일부 핵심 인사들은 가상화폐에 사적인 재정적 이해를 갖고 있고, 사적 이해를 넘어 이념적 문제도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