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일, 9월 3, 2025
HomeToday기재차관 "스테이블코인 등 디지털 기술, 시스템 리스크 경계해야"

기재차관 “스테이블코인 등 디지털 기술, 시스템 리스크 경계해야”


“디지털 기술 발전이 예상치 못한 시스템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도 경계해야 한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이 3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2025 주요 20개국(G20) 글로벌 금융안정 컨퍼런스’에서 개회사에서 이같이 언급했다.

그는 “인공지능(AI)과 스테이블코인 등 금융의 디지털 전환은 금융시장과 통화체제의 혁신을 기대하게 하고 있다”면서도 “스테이블 코인 같은 금융의 디지털 기술 발전이 예상치 못한 시스템 리스크를 초래 할 수 있다는 점도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우리가 직면한 글로벌 금융 환경은 단기적 불확실성과 구조적 변화가 동시에 증폭되는 전환기적 국면에 있다”며 “지정학적 리스크가 지속되는 가운데 글로벌 무역 긴장이 완화되지 않고 이어지면서 세계경제 하방 위험과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짚었다.

이 차관은 “비은행금융기관(NBFI)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비은행금융기관은 다변화된 투자 전략과 행태를 보이는 한편 경기와 시장의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이 있다”면서 “이는 위기 시 변동성 확대와 유동성 경색을 초래할 수 있어 기존 은행 중심의 금융안정체제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또 “특히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개발도상국의 부채 취약성이 심화되고 있어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며 “개발도상국 부채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G20 커먼 프레임워크(개발도상국 부채위기 해결을 위해 G20에서 마련한 채무재조종 매커니즘) 등 국제사회 차원의 노력도 지속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글로벌 차원의 협력 없이는 금융 안정성 제고도, 혁신을 통한 성장 기회도 어렵다는 점을 글로벌 금융위기와 팬데믹 위기를 거치며 경험한 바 있다”며 “한국 정부도 ‘G20 국제금융체제 워킹그룹’의 공동의장국으로서 국제 공조 논의에 적극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공급망 재편, 무역 갈등, 디지털 전환 등이 무역 질서와 통화체제 등 국제경제·금융시스템 전반에 변화의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변화의 신호를 점검하고 대응의 기본 원칙을 마련하며, 국제적 공조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 ARTICLES

Most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