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아빠 가난한아빠’의 작가로 유명한 로버트 기요사키가 워런 버핏의 발언을 정면 비판하며 금과 은 뿐만 아니라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반드시 보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유투데이에 따르면 기요사키는 버핏이 금과 은에 대한 입장을 바꿔 찬양한 데 대해 경고를 던졌다. 버핏이 수십 년간 귀금속을 “쓸모없는 자산”이라고 평가하다가 최근 들어 금과 은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바 있다.
기요사키는 “이제야 금과 은을 칭송하는 버핏의 발언을 들으니 구토가 날 지경”이라며 “버핏의 이러한 발언은 단순한 투자 전략 변화가 아니라 다가올 경제침체의 징후”라고 해석했다.
그러면서 “버핏은 그동안 나 같은 금, 은 투자자들을 비웃어왔지만, 이제는 금과 은을 찬양하는 걸 보면 무언가 심상치 않다”면서 “곧 주식과 채권 시장이 붕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전통적 금융 시스템에 의존하지 말고 방어적 자산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면서 “금과 은은 물론 암호화폐를 필수적인 안전 자산이다. 특히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미래를 대비하는 핵심 투자처”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제 전통 금융 시장에서는 신뢰를 두기 어렵다”면서 “이제 투자자들은 수익 창출보다 방어적 자산 보유로 발상을 전환해야 한다. 금과 은뿐 아니라 암호화폐 역시 향후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차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요사키는 대표적인 암호화폐 강세론자로 꼽힌다. 그는 줄곧 비트코인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들을 밝혀왔다.
최근에도 기요사키는 비트코인 콜렉티브의 공동 창립자 조던 워커가 진행한 팟캐스트에 출연해 “학교와 교수들이 아이들에게 가짜 돈을 위해 일하라고 세뇌하고 있다”면서 “가난한 사람들은 진짜 돈이 무엇인지 몰라서 가난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비트코인을 6000달러대에서 처음 매수했으며 현재 60BTC를 보유 중”이라며 “더 많이 사지 못한 것을 후회한다. 임대 수익으로 금, 은, 석유, 비트코인, 이더리움을 계속 매수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장기적으로 2030년까지 비트코인이 100만 달러, 금은 온스당 3만 달러를 넘을 것”이라면서 “은 역시 산업 수요와 글로벌 통화 시스템 변화에 따라 급등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