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일, 2월 6, 2025
HomeToday금감원, 가상자산사업자 간담회 개최…거래소 전산장애 점검

금감원, 가상자산사업자 간담회 개최…거래소 전산장애 점검


금융감독원이 최근 주요 가상자산거래소의 반복되는 전산장애와 관련해 재발방지 대책 이행상황 등을 점검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금감원은 6일 이종오 디지털·IT 부원장보 주재로 두나무(업비트), 빗썸, 코빗, 코인원, 스트리미(고팍스) 등 5개 거래소 CEO와 최고기술책임자(CTO), 한국가상자산사업자협의회(DAXA)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주요 거래소에서 발생한 전산장애의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해 말 비상계엄 직후 주요 사업자의 거래 중단 등 사업자의 전산장애가 반복되며 이용자 피해 및 시장 신뢰도 하락에 대한 우려가 증가했다.

이에 따라 간담회 참석자들은 전산장애 발생 사업자에 대한 현장점검 2회를 통해 장애 원인을 파악하고 서버 증설 등 사업자별 재발방지대책의 이행상황 등을 점검했다.

가상자산 시장은 24시간 운영된다는 특성상 안정적인 전산시스템 구축·운영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작년 12월3일 비상계엄 당시 사용자들이 가상자산 거래소 애플리케이션(앱)에 대규모로 몰리면서 전산장애가 발생했다.

이와 관련핸 금감원은 전산장애 발생 사업자에 대해 2회의 현장점검을 통해 장애 원인을 파악했다. 또 서버 증설 등 사업자별 재발방지대책의 이행상황 등을 점검했다.

현장점검 결과 계엄 직후 주요 거래소 3사에서 발생한 전산장애의 주요 원인이 트래픽 집중에 따른 서버용량 부족으로 확인되면서, 거래소들은 서버를 증설했다.

간담회에서 이종오 금감원 디지털·IT 부원장보는 다시 한 번 가상자산사업자의 정보·기술(IT) 안정성 확보와 이용자 피해보상에 대한 경영진의 깊은 관심과 주의를 당부했다.

이 부원장보는 “가상자산사업자의 IT 안정성 확보와 이용자 피해보상에 대한 경영진의 깊은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며 “24시간 운영되는 가상자산시장의 특성을 감안해 금융회사 이상의 IT 안정성 확보를 위한 전사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용자 피해에 대한 원활한 보상을 위해 합리적인 보상체계 구축도 피료하다”면서 “전산장애 관련 피해보상의 기준·절차 등의 적정성을 점검하고 미흡한 사항은 즉시 보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RELATED ARTICLES

Most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