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 12월 27, 2024
HomeCrypto글로벌 블록체인 친화국 1위 "싱가포르!, 한국·미국 순위는?"

글로벌 블록체인 친화국 1위 “싱가포르!, 한국·미국 순위는?”

최근 중국 당국이 2014년 이후 최대 규모의 유동성을 회수하고 있는 모습이다. 내년 미·중 무역 갈등이 고조될 가능성에 대비하려는 조치로 해석된다.

26일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중국인민은행(PBOC)은 3000억 위안 규모의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를 연 2.0%로 동결한다고 밝혔다. PBOC는 MLF를 통해 금융 시스템에서 순 1조 1500억 위안(약 230조 3450억원)을 회수했는데, 이는 2014년 이후 최대 규모다.

MLF는 PBOC가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레포·Reverse Repo)과 함께 시중 유동성을 조절하는 정책 수단이다.

인민은행은 MLF를 통해 사실상 기준금리의 역할을 하는 대출 우대금리(LPR)를 조정한다. 최근 PBOC는 MLF를 주요 정책 금리로 간주하는 대신, 시장 차입 비용을 유도하기 위해 7일물 역레포 금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7일물 금리는 9월 말 20베이시스포인트(bp) 인하 이후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중신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MLF 금리 동결은 예상된 결과”라며, “2025년에는 금리가 40~50bp 인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번 유동성 회수가 은행 지급준비율(RRR) 인하 가능성을 높였으며, 연말까지 관련 조치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달 초 중국 당국은 적절히 완화된 통화 정책과 적극적인 재정 정책을 통해 경제를 지원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아직 구체적인 경기 부양책은 발표되지 않은 상태. 내년 취임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관세 부과 가능성을 예고한 가운데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려는 모습인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중국 시장에서는 내년에 대규모 금리 인하가 단행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26일 발표된 탈중앙화 거래소(DEX) 에이펙스 프로토콜의 최근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블록체인에 가장 친화적인 국가로 싱가포르가 선정됐다.

구체적으로 싱가포르는 1600여 개의 블록체인 특허와, 2400여개의 관련 일자리를 보유해 총 85.4점을 받았는데, 싱가포르에 기반한 가상자산 거래소는 81개로, 싱가포르의 인구가 약 600만명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상당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반면, 한국의 블록체인 친화 점수는 총 75.4점으로 홍콩(82.7점), 에스토니아(81.5점), 스위스(80.2점), 미국(79.8점) 등에 이어 8위를 차지했다.

한국의 블록체인 특허는 약 1만 8000개, 관련 일자리는 120여개로 집계됐으며, 한국에 있는 가상자산 거래소는 29개로 싱가포르(81개)의 35% 수준에 그쳤다.

RELATED ARTICLES

Most Popular